올해도 예비문화도시 지위 머물러, 시비 투입
이야기문화도시 소재 확장성·지속성 확보 미흡

김정섭 공주시장이 지난 10월 열린 업무계획보고회에서 법정 문화도시 실사 준비를 당부하고 있는 모습. (사진=공주시)
김정섭 공주시장이 지난 10월 열린 업무계획보고회에서 법정 문화도시 실사 준비를 당부하고 있는 모습. (사진=공주시)

김정섭 공주시장이 민선 7기 역점 사업으로 추진해온 법정 문화도시 지정이 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12일 공주시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제2차 문화도시로 인천 부평구, 강원 춘천시, 전북 완주군 등 총 5곳을 지정했다.

선정된 도시는 5년 간 도시별 특성에 따라 최대 연 100억 원을 지원받는다. 지난 2019년 말 1차로 선정된 7개 도시를 포함하면 문화도시는 전국 12곳이 지정돼있다.  

공주시는 지난 2019년 12월 예비문화도시 선정 이후 ‘이야기문화도시 공주’를 소재로 법정 문화도시 지정을 준비해왔다. 문화도시정책위원회 발족, 문화도시센터 개소, 문화도시 챌린지 캠페인, 각종 문화사업 등이 그 예다. 

이번 문화도시 지정에서 고배를 마신 시는 올해도 예비 문화도시 지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비를 들여 각종 문화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문화도시 지정 실사는 지난해 11월 16일 이뤄졌다. 이후 피드백 절차, 1월 5일 온라인 심사 과정 등을 거쳐 확정됐다.

연계성·확장성 부족, 중간 조직 불안정 과제

지난해 12월 열린 공주 문화도시 예비사업 평가보고회 모습. (사진=공주시)
지난해 12월 열린 공주 문화도시 예비사업 평가보고회 모습. (사진=공주시)

지정 실패 원인으로는 문화도시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등 중간 조직의 역할과 협업 부재, 문화도시 지정에 대한 주민 공감대 형성 부족, 시민 조직 간 역할 재정비, 이야기문화도시라는 브랜드와 지역 발전과의 상관성 형성, 문화도시 5개년 계획 이후의 사업 지속성 확보 등이 꼽힌다.

지난해 거버넌스 조직이 안정성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사업이 시급히 추진됐고, 소유 중인 문화 자원 대비 콘텐츠 연계성이나 확장성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례에 명시된 민간조직, 문화도시센터도 6월이 돼서야 설립됐다. 이마저 센터장이 중간에 퇴사하면서 공주문화원장이 센터장을 겸직하는 사태가 발생해 조직 안정성 저해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사 이후 기존 조직인 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협업이나 연계가 부족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하반기 페스티벌 형식으로 8개 사업을 동시 추진하면서 여러 콘텐츠를 선보였으나,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인해 시민 홍보 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시 문화체육과 관계자는 “예비도시선정 이후 여러 사업을 추진하면서 문화 자원들을 발굴했으나 이를 거버넌스 조직화 하거나 연계 사업으로 엮는 작업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다방면으로 실패 원인을 분석해 문화도시 지정에 재도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문화도시센터 조직이 전문성 있고, 안정적인 조직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라운드테이블 운영 등을 통해 시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며 "각종 문화사업도 기존 원도심 중심에서 동지역, 읍면지역까지 전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