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성문화재연구원, 전의면 이성(李城) 조사
삼국시대 축조 성벽 확인, 다수 유물 출토

세종시 전의면 신방리 이성산성 시굴조사 모습. 사진은 성벽의 흔적. (사진=세종시)
세종시 전의면 신방리 이성산성 시굴조사 모습. 사진은 성벽의 흔적. (사진=세종시)

현 세종시 땅을 차지하기 위해 백제와 신라 두 나라가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는 문화재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종시와 한성문화재연구원은 전의면 신방리 이성(李城)산성 시굴조사를 통해 백제와 신라 양국 간 치열한 경쟁이 있었음을 유추했다고 6일 밝혔다.

두 기관은 조사 후 전문가 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를 열고, 이성의 정상부 일대와 동벽 구간을 대상으로 한 시굴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이성은 현재 시 지정 기념물 제4호로 지정돼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성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성벽시설로 밝혀졌다. 정상부 일대에서 6∼7세기 백제, 신라 유물이 다수 출토됐다. 연구팀은 이를 근거로 현재 세종시 일대를 두고 대치하던 백제, 신라 양국이 치열하게 공방을 벌였다는 점을 유추했다.

이성은 백제가 처음 축조한 이후 신라에 의해 점령됐고, 성벽은 2차례 이상 고쳐 쌓은 것으로도 확인됐다. 가장 바깥쪽 성벽은 고려 개국공신인 이도(李棹)와 관련된 성벽으로 추정된다. 정상부를 중심으로 성벽을 처음 축조한 이후, 점차 바깥으로 성벽을 증축해 현재의 규모가지 확장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바깥쪽 성벽의 높이는 약 8m 정도로 높은 편이었고, 지형에 따라 사용된 성돌의 크기와 형태도 달랐다. 연구팀은 동벽 안쪽 다짐층에서 백제토기와 기와편 등이 출토된 점으로 미뤄볼 때 이성을 처음 축조한 국가가 백제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성산성 항공사진 모습. (사진=세종시)
이성산성 항공사진 모습. (사진=세종시)

또 성내 정상부 일대는 4단으로 이뤄진 다중 평탄지가 확인됐다. 각 평탄지마다 석축을 쌓아 구획한 흔적도 보였다.

가장 아래쪽 1단에는 다각 건물지, 2단은 저장시설, 3단은 지하저수시설, 가장 위쪽인 4단에는 장대지가 배치됐는데, 각 평탄지는 용도에 따라 공간의 구획과 면적을 각기 다르게 조성한 형태였다. 

연구팀은 위계에 따라 공간을 구분한 것으로 보고, 이성 산성의 축조가 계획적으로 이뤄졌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이밖에 동벽 회절부에서는 성벽 주변 성문에 사용된 철제 못이 여러 개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동문지(東門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서쪽 평탄지는 군사 훈련을 위한 목적으로 조성돼 오늘날의 군대 연병장처럼 활용됐던 것으로 파악했다.

시는 이번 시굴조사로 기존 성곽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이성의 구조와 양상을 확인한 만큼, 향후 연차별 발굴조사를 통해 세종시 내 삼국시대 산성의 특징과 역사성을 밝힐 계획이다.

이칠복 관광문화재과장은 “이성은 삼국시대 격전지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라며 “앞으로 연차별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향후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추진해 복원·정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시굴조사는 지표조사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정확한 축조세력과 시기, 방법, 성격 등을 규명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는 이성의 복원 정비, 사적 승격 기초자료로 이를 활용키로 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