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정무부시장 대신 과학부시장을 임명하기로 했다. 금명간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부시장의 법적 지위는 정무부시장과 다를 바 없으나 대전시 행정에서 과학기술 분야에 더 비중을 두겠다는 뜻일 것이다. 1970년대 초 대덕연구단지 조성과 함께 과학도시가 된 대전시에 이제야  과학부시장이 나온다니 늦은 감이 있지만 명실상부한 과학도시로 발돋움해보겠다는 의지로 보여 기대된다.

대전시는 ‘4차산업특별시’를 표방하고 있다. 과학도시로서 마땅한 구호지만 실상을 보면 민망하기 그지없다.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이나 인공지능 시범사업 등 미래산업에 있어서 부산 광주 등 ‘보통시들’이 오히려 앞서가고 있다. ‘과학행정’ 의지의 부재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연구단지 사람들 얘기를 들어보면 대전은 우리나라 최고의 연구단지를 품고 있으면서도 이들 기관을 활용하려는 노력은 꼴찌 수준이다. 

다른 시도에서 연구단지에 찾아와 “이것 좀 한번 해보자”며 졸라대는 경우가 많은데 대전시에서는 그런 일이 거의 없다고 한다. 출연연 중에는 지방자치단체 등 외부기관과 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지방자치단체들 입장에서도 연구기관한테 많은 도움을 받아야 하는 형편이지만 대전시와의 관계는 소원한 편이다. 연구단지 사람들은 대전시의 습관과 문화로 이해한다. 과학부시장의 탄생은 대전시의 이런 풍토를 바꾸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ICBM’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신은 모르고 있는 대전시”

대덕특구의 한 연구원은 무엇보다 연구단지와 소통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이면 좋겠다고 말한다. “대전시가 과학부시장을 두겠다는 것은 연구단지와 과학기술을 통해 대전의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찾겠다는 것 아니냐? 그러려면 연구원들의 말문을 열어줄 수 있는 소통 능력이 중요하다.” 소통 측면에선 과학부시장이 반드시 과학기술인일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그는 말한다.

과학부시장은 ‘적극적 과학기술 행정’을 위한 촉진제일 뿐이다. 훌륭한 사람을 과학부시장으로 뽑더라도 시장의 생각과 행동이 달라지지 않으면 성과를 내기 어렵다. 시장은 별 관심이 없는데 누가 나설 것이며, 설사 나선다고 해도 결실을 거둘 수 있겠는가? 과학부시장을 뽑는 것은 시장이 ‘과학도시 시장’으로 변신하겠다는 의지를 가져야 의미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과학도시 흉내만 내는 데 그치고 말 것이다. 과학부시장제는 대전시장 스스로가 ‘과학시장’이 되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대전시장에게 ‘과학도시’는 그럴듯한 수식어가 아니라 무엇보다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무기로 치면 대전시는 ‘ICBM’을 가지고 있는 데도 자신은 이런 사실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며 안타까워한다. 대전시장이 이를 잘 활용한다면 어떤 시도지사도 따라올 수 없는 무기가 될 수 있는 데도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학도시’는 대전의 미래뿐 아니라 시장 자신의 미래에게도 빅카드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과학부시장제 도입이 명실상부한 국제적 과학도시로 태어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