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경주 지진 모사한 ‘진동대 실험’통해 원전 구조물 내진 안전성 입증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기구조예측진단연구부 김민규 박사가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실험 진행 전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기구조예측진단연구부 김민규 박사가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실험 진행 전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지난 2016년 9월 경주에서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규모인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각종 건축물, 특히 원전의 지진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가운데, ‘경주 지진’을 그대로 모사한 ‘진동대 실험’을 통해 원전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을 확인한 공개실험이 열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4일 국내 최대 규모의 진동대 실험장치를 보유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지진방재연구센터에서 원전 구조물의 지진 안정성 공개실험을 진행했고, 경주 지진에 대한 원전 구조물의 안전성은 전혀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

이번 진동대 실험에서는 경주지진 발생 당시 진원에서 가장 근접한 명계리 지진관측소에서 계측된 지진파를 재현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기구조예측진단연구부 최인길 박사 연구팀은 원전 건물을 대표할 수 있는 높이 5m, 3층 규모의 전단벽 구조물을 제작해, 실제 발생한 지진과 같은 인공지진파에 노출시켰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약 5.8 규모의 지진에 대해 원자력발전소의 구조물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전의 경우 신고리 원전 3~4호기는 내진 성능 0.3g(지진 규모 약 7.0 해당), 그 외의 원전은 내진 성능 0.2g(지진 규모 약 6.5 해당)에 해당하는 내진설계가 되어있다. 

그러나 내진설계 당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S NRC)에서 제시하는 설계기준을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을 온전히 고려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원자력발전소는 주로 전단벽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적인 건물과 비교할 때 지진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더욱 복잡하므로 단순히 이론만으로는 지진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전단벽 구조: 수평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이 실험 종료 후 전단벽 구조몰의 지진 안전성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이 실험 종료 후 전단벽 구조몰의 지진 안전성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이번 실험은 한국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규모의 지진을 사용해 원전을 대표하는 전단벽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최초의 실험이라는 의의가 있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통해 원전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을 입증했을 뿐 아니라, 향후 원전 내진 연구에 필요한 실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최인길 박사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활용해 원전 구조물의 지진 응답 예측기술을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다. 

현재 연구팀은 국내외 대학, 건설사, 설계사, 연구원 등 16개 기관과 이와 관련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가을 열리는 추계 원자력학회에서 연구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연구를 주도한 최인길 부장은 “이번에 진행된 공개 진동대 실험은 실제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가동 원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직접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번 실험 결과가 원전의 내진 안전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