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당위원장, 혁신도시, 시의회 원구성 ‘미묘한 긴장감’

허태정 대전시장과 대전지역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당선인들이 지난 6일 간담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지난 4·15 총선에서 대전지역 7개 선거구를 석권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당선인들 사이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대전시당위원장 선출, 혁신도시 후보지 선정, 대전시의회 후반기 원구성 등 중요 현안에 대해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기 때문. 모두 주도권 문제와 연관돼 있다.

먼저 오는 7월말 8월초로 예상되는 차기 시당위원장 선출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다를 수 있다. 차기 시당위원장은 다음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누가 직을 맡느냐가 지역 정치권 초미의 관심사다. 

박병석(6선), 이상민(5선), 박범계(3선) 의원 등 다선 중진은 21대 국회 원구성에 집중하는 등 중량감 있는 역할을 자처하면서 이 문제와 비켜서 있다. 박병석 의원은 오는 25일 열리는 당내 의장단 경선에 의장 후보로 나설 예정이고, 이상민 의원 역시 부의장 출마를 고려하고 있는 중이다. 박범계 의원도 상임위원장 진출이 유력하다. 

때문에 차기 대전시당위원장은 지역 초·재선 의원 몫이 될 공산이 크다. 지난 총선에서 시당위원장으로 7석 전석 석권을 이끌었던 조승래 현 시당위원장의 연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으나 조 의원이 최근 원내선임부대표를 맡으면서 변수가 생겼다. 연임이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니지만 조 의원이 원내대표단에 포함되면서 시당위원장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버거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초선그룹인 장철민(동구), 황운하(중구), 박영순(대덕구) 당선인 중에서 정치경력이 많은 박영순 시당위원장 카드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박 당선인은 지난달 28일 지역 정치부 기자들과 간담회에서 “아직 논의조차 시작되지 않았지만 (시당위원장) 역할이 부여되면 마다하지 않겠다”며 도전의사를 밝힌 바 있다. 

다만 차기 시당위원장이 지방선거를 진두지휘해야 하는 만큼, 당선인들 사이에 지역정치 주도권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엇갈릴 수 있어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국회 내 원구성에 따른 역할부여에 따라 변수가 생길 여지 또한 많다.  

혁신도시 후보지 선정을 둘러싼 이해충돌이 벌어지기도 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12일 동구 대전역세권과 대덕구 연축지구를 혁신도시 후보지로 선정, 발표했다. 그러나 후보지에서 제외된 중구 황운하 당선인이 유감을 표명하고 나서면서,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황 당선인은 추후 기자회견 등을 통해 혁신도시 입지선정에서 중구가 제외된 것에 대한 반대급부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시의회 후반기 원구성 문제에 대해서도 ‘원팀’ 민주당 내부에서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시의원들끼리의 자리다툼’으로 비칠 수 있지만, 이면엔 국회의원 당선인들까지 포함된 이해득실이 작용할 개연성이 크다. 시의회 후반기 원구성 역시 지역 정치권의 주도권 문제가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조승래 현 시당위원장은 오는 26일 시의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통해 후반기 원구성 문제에 대한 의견수렴 또는 조율에 나설 예정이다.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22개 의석 중 21개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당내 논의가 사실상 결정권 행사의 자리가 될 수 있다. 26일 간담회는 결론을 내리는 자리는 아니지만, 향후 원구성 논의에 방향을 제시하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지난 지방선거 직후, 시의원들은 의원총회를 통해 전반기 김종천, 후반기 권중순 의원을 의장으로 선출한다는데 합의했으나 후반기 원구성 시점이 도래하자 각자 다른 이야기를 꺼내 놓으며 정치적 수 싸움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핵심 쟁점은 약속과 합의가 있었느냐, 그런 사실이 없었느냐에 모아진다. 일부 시의원들은 비교적 명확한 ‘합의 사실’ 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중이다.

지방의회 원구성과 관련된 민주당 중앙당 입장은 명확하다. 중앙당은 지난달 말 각 시·도당에 사무총장 명의의 지침을 보내 “사전 선출된 의장 및 부의장 후보가 당해 직에 선임될 수 있도록 협력하라”며 “이를 위반할 경우 징계에 처해질 수 있다”고 명시했다. 과거 제명과 당원권 정지 등 징계사례를 제시하기도 했다. 총선승리 등에 도취돼 자칫 흘러나올 수 있는 당내 불협화음 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