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복합터미널 사업이 다시 삐걱거리고 있다. 사업자 측의 내분이 소송전으로 번지면서 정상적인 추진이 어려워진 상태다. 내분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현 사업자가 추진하는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은 한정 없이 길어지거나 물 건너갈 가능성이 있다. 대전시는 이 사업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세워야 한다.

송 모 씨가 주체가 되어 만든 KPIH라는 법인에서 이 사업을 맡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사업에 참여한 한 주주는 송 씨가 약속을 어겼다며 소송을 제기하면서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서로 상대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여론전까지 벌이고 있다. 양쪽은 대전시가 자신들의 편을 들고 있는 것처럼 아전인수식 주장을 하자, 대전시가 그런 일은 없었다며 피해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는 일까지 생기고 있다.

이 사업은 본 사업의 규모만 6000억 원대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인 데도 대기업이 아닌 개인 사업자가 맡으면서 처음부터 사업추진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았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사업자 측 내부 갈등은 그런 걱정이 현실로 드러난 것으로 봐야 한다. 자본력이 탄탄한 대기업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대규모 사업은 반드시 대기업이 맡아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개인 사업자에게 사업을 맡겼다면 그에 따른 대책은 세워놨어야 하는 게 맞다. 대전시가 어떤 대책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다. 지금 대전시가 사업자 측 내분에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사업자 내부 사정이니 누구의 잘잘못을 따져 승패를 결정해줄 수는 없는 문제다. 그렇다고 두 손 놓고 싸움 구경만 해야 한다면 대전시라는 공공기관의 존재 이유가 없다.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추진은 시외버스 이용자는 물론이고 유성 상권이 되살아나길 바라는 시민들에게도 숙원사업이다. 사업자는 대전시와 시민들에게 약속한 대로 사업을 마무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 내부 갈등의 사정까지 시민들이 이해하고 납득해야 할 이유는 없다. 하루속히 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스스로 책임을 감내해야 한다.

판사보다 대전시장이 어려운 이유

이 사업의 최종 책임자는 사업자가 아니라 대전시다.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터미널 조성 사업은 실질적 주체는 대전시일 수 밖에 없다. 시는 사업자 측에 책임을 돌릴 수 없다. 애초부터 그런 우려가 있는 사업자를 선정한 책임이 대전시한테 있다. 사업자의 선정 과정과 절차에서 법적 하자가 없다고 하더라도 대전시 책임이 무거운 이유다. 

그러나 대전시는 보다 멀리 봤으면 한다. 미봉책으로 넘어가면 이런 문제가 언제든지 또 다시 발생할 수 있다. 엉터리로 빨리 하는 것보다는 천천히 가더라도 잘된 사업을 원한다. 나중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대전시의 골칫덩어리로 전락시킨다면 그야말로 최악이다. 아직 거기까진 가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만들지 말아야 한다. 대전시가 사업자와 다른 점이다.  

시장과 판사는 모두 공직자지만 크게 다른 점이 하나 있다. 판사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자신의 판결에 책임질 일이 없지만, 시장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결정이라도 결과가 잘못되면 책임을 져야 한다. 시장이 판사보다 어려운 점이다.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은 전임 시장 두 명이 시도하다 모두 실패했다. 이번 시장도 시험대에 올라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