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자료화면.

우한폐렴(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의 증가 속도가 심상치 않다. 발생지 중국에서 확진자가 2천 명을 넘어서며 급증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3번째 확진자가 나왔다. 이 환자는 중국 우한시에 거주하다 지난 20일 입국했는데 입국할 때는 증상이 없었다. 그러나 이틀 만에 감기 증세가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자 보건당국에 신고해 우한폐렴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중이다.

보건 당국은 이 환자가 접촉한 사람들에 대한 파악에 나서는 등 역학조사와 함께 격리조치에 나서고 있다. 이 환자는 입국 후 거주지인 수도권에서만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첫 환자는 우한시에서 입국한 중국인 여성으로 입국 과정에서 발열 등이 확인돼 바로 격리 조치됐고, 두번째 환자 역시 우한시에 근무하다 입국한 한국인 남성으로 우한 현지에서 발병 증세를 인지하고 능동감시를 받다가 확진판정을 받았다.

우한폐렴은 잠복기에도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26일 오후 현재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 전역에서 우한 폐렴 확진자가 2076명으로 집계됐고, 사망자도 56명이 나왔다. 중국에선 서부 지역의 티베트를 제외한 전 지역으로 확산된 상태고,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권은 물론 유럽과 미국 등 전세계로 전파되면서 확산추세에 있다.

우한폐렴은 지난 2002년부터 유행했던 중국 사스, 2012년부터 유행했던 중동 메르스와 같은 종류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다. 우한폐렴은 치사율 2~3%로, 사스(10% 내외), 메르스(30~40%)보다 낮으나, 지역사회 감염우려가 있는 점에선 사스와 비슷한 면이 있다. 

정부, 의사협회 권고 흘려 들어선 안된다

정부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2003년 사스 사태 때는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모범적 선례를 남겼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는 적기 대응을 놓쳐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이 많았다. 대한의사협회는 26일 우한폐렴과 관련 “중국으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에 대한 금지 조치를 준비해야 한다”며 정부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을 주문하는 내용의 담화문을 발표했다. 정부는 의사협회의 권고를 흘려들어선 안된다.

우한폐렴에 대해 중국 당국이 손을 쓰기 어려울 정도까지 사태를 악화시킨 가장 큰 이유는 소극적 대처였다는 비판이 많다. 중국에선 우한폐렴 사태를 두고 ‘두려움(공포)’보다 더 무서운 것은 ‘안이함’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들에게 공포감을 주지 않기 위해 설마하면서 쉬쉬하다가 사태를 키웠다는 것이다. 일부러 공포감을 줄 이유는 없으나 시민들을 불안하지 않게 하려는 데만 매달려선 안 된다는 의미다. 우리 정부도 새겨 들어야 부분이다. 좀 두렵더라도 사태 확산을 막는 게 더 중요하다.

대전시는 우한시에서 폐렴이 집단 발병 소식이 전해진 후, ‘우한시 원인불명 페렴대책반’을 구성하고, 비상대응체제에 들어갔다. 지난 13일에는 정윤기 행정부시장 주재로 감염내과 교수와 보건소장 등 전문가 회의를 긴급 소집해 우한폐렴 대응을 위한 비상대책회의를 가졌다. 보다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이어야 한다. 대전시장이 현황을 직접 챙길 필요가 있다. 대전시와 충남도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정부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면서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