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대전세종포용포럼 창립기념 세미나...'문정부, 포용정책과 지역균형발전정책 중간 점검'
정치·경제 사회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대학교수, 연구자, 시민단체 등 70여명 창립회원

 

6일 오후1시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대전세종포용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가 열렸다.
6일 오후1시 대전세종포용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가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문재인 정부의 혁신적인 포용정책을 위해서 지방정부․공공기관․지방대학․기업이 연합해 글로벌 협력을 추진하는 등 다양성을 평화와 혁신의 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포용적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같은 의견은 6일 오후1시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대전세종포용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에서 나왔다.

이날 포럼에는 '포용정책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주제로 학계와 연구자들이 참여하했으며‘포용의 가치’와 철학이 지역균형발전정책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토론을 펼쳤다.

특히, 주요 선진국인 영국, 프랑스의 지역균형발전정책과 대전세종 상생발전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및 토론을 통해 문재인 정부의 포용국가 지역균형발전정책의 비전과 전략을 중간 점검했다.

이날 창립기념 세미나는 윤기석 상임대표(충남대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송재호 대통령직속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원성수 공주대학교 총장, 정해구 전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이춘희 세종시장, 윤황 충남연구원장, 박재묵 대전세종연구원장,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원장의 축사로 이어졌다.

성경륭 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은‘혁신적 포용국가와 지역혁신발전’주제의 기조발제를 통해 글로벌 지역연합 전략을 제안하면서 "지방정부․공공기관․지방대학․기업이 연합해 글로벌 협력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며 "갈등을 예방하고 다양성을 평화와 혁신의 동력으로 삼기 위해 포용적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1회의와 2회의에서는 '주요 선진국의 자치분권과 국토균형발전'과 '대전세종 상생협력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제1회의에는 초의수 교수(신라대)가 "영국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역으로의 권한 이양과 지역장관제를 통한 지역참여의 국정운영, 지방분권균형발전부 설치 및 운영, 통합과 포괄의 재정배분과 집행의 효율화,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지역계획의 수립 및 운영, 지역 및 주민의 직접 참여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6일 오후1시 대전세종포용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가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6일 오후1시 대전세종포용포럼 창립 기념 세미나가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윤기석 교수(충남대)는 '프랑스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을 발표하면서 “무려 200년 넘게 강한 중앙집권적 정치행정 제도로 나라를 경영했던 프랑스가 1982년 이후 자치분권, 균형발전 성공국가로 평가받게 된 배경에는 지속가능한 제도개혁, 분권형 국가로의 헌법개정, 그리고 1950년부터 시작된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 등”이라고 소개했다.

제2회의는 ‘대전세종 상생협력 방안’이라는 주제로 박경순 교수(한남대)가 ‘대전세종 상생협력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박교수는 발제에서 상생협력을 위한 가치로 지속가능성, 협력과 제휴, 지역 정체성을 제시하며 “지역 상생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고 협의기구로 행정협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조합을 생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오용준 책임연구원(충남연구원)은 ‘충청권 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광역협력 방안’을 통해  “서울경제권과 차별화된 충청권 광역연합의 위상 및 책무, 국제표준을 설정하여 국가균형발전의 혁신거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기석 상임대표는 " '혁신과 포용’의 가치가 21세기의 불확실한 미래 환경의 변화 앞에서 우리 사회공동체가 직면할 문제해결과 발전방향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대전세종 포용포럼은 이처럼 불확실한 미래 환경의 변화 앞에서 대한민국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정치·경제 사회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구하는 지식 공동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세종 포용포럼은 대학교수, 연구자, 시민단체 등 70여명의 창립회원으로 구성됐으며 향후 정기적인 정책토론회를 갖고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와 국가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포용국가의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정책공동체로서의 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