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교통관제센터가 충북 오송에 들어서게 됐다. 우리나라 철도교통의 전체의 교통신호등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다. 충북은 최근 철도교통관제센터의 오송 유치가 확정됐다고 밝힌 바 있다. 오송은 대한민국 철도교통의 중심지로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다. ‘교통의 중심지 대전’이란 말은 그야말로 옛말로만 남을 형편이다.

오송 철도교통관제센터 설치에는 3000억 원이 소요되며, 2026년 개통되면 철도관제사 등 직원 500~700명이 근무하게 된다. 지금 철도관제센터는 서울 구로구에 위치해 있다. 오송으로 이전해오면 오송이 명실상부한 철도의 중심지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오송을 철도산업의 중심지로 키워오고 있는 충북도는 “정부가 오송을 국가철도 인프라구축의 최적지임을 인정한 셈”이라고 밝혔다.

이웃 충북과 오송의 ‘선전’에 박수를 보내면서도, 교통도시로서는 생명을 잃어가고 있는 대전의 대안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대전은 철도공사(코레일)과 철도시설공단 본사가 소재한 교통도시임은 분명하다. 아직 교통도시로서 생명이 완전히 끝난 것은 분명 아니다. 그러나 대전은 계속 밀리고 빼앗기면서 교통도시로서의 대전은 날로 위축돼 왔다.

철도관제센터가 공개경쟁을 통해 선정된 것은 아니나, 충북도가 두 손 놓고 앉아서 떡을 받아먹듯 얻은 선물로 보이진 않는다. 정부의 오송 결정에 대해 충북은 “오송을 철도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한 적극 노력한 결과”라고 밝혔다. 대전시는 철도도시 대전의 위상에 걸맞는 노력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웃 충북이 철도클러스터 구축 계획을 세우며 미래로 달려갈 때 대전은 철도박물관 유치에 매달리며 과거로 향했다. 그것마저도 물을 먹었다.

지금은 서대전역 활성화가 최대 과제다. 호남선 KTX 노선의 오송 분기 시대가 오면서 서대전역은 시골 간이역처럼 쪼그라들고 있다. 충청의 대표 도시 대전과 호남을 잇던 동맥이 끊긴 거나 마찬가지다. 대전시는 서대전역~논산 구간을 직선화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해 놓고 있으나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정부는 경제성을 따져보자며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중이다. 정부는 올초 지역경제 살리기를 명분으로 예비타당성조사도 없이 24조원을 지방에 퍼부으면서도 대전에는 인색하다.

오송에 넘긴 교통도시... 대전, 대안 뭔가

교통도시로 자부해온 대전은 작금 ‘철도교통 현실’을 보면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할지 모른다. 오송역은 올 연말 년간 이용자가 8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충북은 점치고 있다. 2018년 말 기준 이용객 규모는 서울역 부산역 동대구역 수서역 대전역 용산역 광명역 천안아산 역 순이다. 대전역은 서울역(2800만)의 절반에 못 미치는 1300만 정도에 불과하다. 한때 호남선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다던 서대전역은 100만 정도로 떨어졌다.

철도도시로서 대전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은 게 현실이지만 대전이 교통도시로서의 경쟁을 포기해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대전은 여전히 국토의 중심지이고, 철도공사와 시설공단이 대전에 있다는 점은 무엇보다 큰 강점이다. 대전시는 이런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철도공사는 대전역 안에 있으면서도 대전을 남 보듯 한다. 공사는 더 늘려야 할 서대전역 노선에 감차를 시도하기도 했다. 다른 지역 같으면 일어나기 힘든 일이다. 시민 전체가 힘써야 하지만 특히 시장과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의 분투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