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김윤기 “민영화 저지” 주장하며 ‘유성을’ 도전
민-민 갈등 조짐에 민주-한국당 출마예정자들 ‘고심’

왼쪽부터 김윤기 정의당 대전시당 위원장,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육동일 자유한국당 당협위원장. 이들은 모두 대전 '유성을' 지역구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윤기 정의당 대전시당 위원장,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육동일 자유한국당 당협위원장. 이들은 모두 대전 '유성을' 지역구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자료사진.

최근 불거진 대전 ‘하수처리장 민영화 논란’이 내년 총선에서 대전 유성구을(乙) 지역구 중요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정의당이 ‘민영화 반대’를 주장하며 이 문제를 쟁점화 시킨 반면 민주당 소속 지역구 현역인 이상민 의원은 ‘추진하면서 보완하자’는 입장을, 육동일 한국당 지역 당협위원장은 ‘판단 유보’라는 신중한 자세를 나타냈다. 

24일 정의당 대전시당은 임시대의원대회를 통해 총선체제 돌입을 선언하면서 ‘대전하수처리장 민영화 저지’를 핵심의제로 내세웠다. 이 자리에서 김윤기 시당위원장은 “대전 최초의 진보정당 국회의원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유성구을’ 지역구 도전을 선언했다.    

하수처리장 이전계획은 대전 전체를 아우르는 사안이기는 하지만, 현 유성구 원촌동에 있는 하수처리장을 금고동 일대로 옮기는 이전사업인 만큼 유성구 내부 주민 간 의견대립으로 이어지고 있다. 

원촌동 전민동 일대 주민들은 악취발생 등을 이유로 10년 넘도록 이전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금고동 일대 주민들은 혐오시설에 대한 반감을 나타내며 이전에 반대하고 있는 중이다. 

때문에 ‘유성을’에서 펼쳐질 총선경쟁은 출마자들에게 하수처리장 이전계획에 대한 입장을 묻는 공론장 성격을 띨 개연성이 높다. 출마자들이 하수처리장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표명하느냐에 따라 특정지역의 표심이 엇갈릴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일단 포문은 정의당이 먼저 열었다. ‘유성을’ 출마를 선언한 김윤기 시당위원장은 “정의당 대전시당이 존재하는 한 대전의 그 어떤 공공재도 이윤의 논리에 휘둘리도록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명한 입장을 내놨다. 

지역구 현역인 이상민 의원(4선, 민주)은 ‘큰 틀에서 추진은 하되 보완책을 만들자’는 입장을 밝혔다. 이 의원은 <디트뉴스>와 전화통화에서 “하수처리장 이전계획은 유성지역을 떠나 대전시 발전이라는 차원에서 필요한 사업”이라며 “다만 하수처리장 현 지역과 이전 예정지역의 주민갈등, 정의당과 시민단체가 민간투자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선 등을 고려해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완책과 관련해 이 의원은 “현 지역과 이전 지역의 동반 발전계획, 민영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공공의 확고한 통제 보완장치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이상민 의원에 도전장을 던졌거나 던질 예정인 출마예정자들 역시 고심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지역구 내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린 만큼, 선뜻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주기 어려운 까닭이다.  

민주당 내 출마예정자로 거론되는 인사는 김종남 대전시 민생정책자문관, 안필용 전 국회의원 보좌관, 정기현 현 대전시의회 교육위원장, 조원휘 전 대전시의회 부의장 등 많게는 7∼8명에 이른다. 

이들은 하수처리장 민간투자계획을 추진 중인 허태정 시정부와의 관계, 지역 내 지지기반에 따른 이해관계, 민간투자(민영화)를 바라보는 가치관 등에 따라 시각을 달리하고 있지만 아직 분명한 입장을 드러내지는 않고 있다.  

자유한국당 ‘유성을’ 지역구 육동일 당협위원장은 보다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육 위원장은 일단 이 문제가 정치쟁점화 되는 것 자체에 대한 반대의견을 보였다. 유권자들이 정확한 사실에 근거해 판단하기보다는 진영논리에 휩싸이면서 자칫 가짜뉴스 등에 휘말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육 위원장은 “이 문제가 굉장히 큰 불씨가 될 것이란 점엔 동의하지만 지금 단계에서 뭐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대전시가 분명한 사실을 전달하고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신중론을 폈다. 행정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논란을 증폭시킨 측면이 있다는 의미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민-민 갈등을 행정이 해소하기 어렵기에 선거를 통한 정치적 해소가 필요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지역 정치권의 한 인사는 “유권자들이 후보를 선택하는 선거과정 자체가 갈등현안에 대한 공론화 성격도 지닌다”며 “행정이 해소하지 못하는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정치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