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신문기사는 물론 TV뉴스조차 네이버나 유튜브로 전달해야 할 만큼 포털의 영향력이 막강해졌다. 사람들이 종이신문을 읽거나 거실이나 사무실 TV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비율이 줄고 대신 인터넷을 통해 기사를 접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지역언론도 예외는 아니다. 포털이 지역언론을 배제한다는 것은 지역민이 지역언론을 접할 기회가 차단된다는 뜻이다. 

대표적인 뉴스 유통 플랫폼 사업자인 네이버에 대해 이런 우려가 나오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4월 모바일 화면을 개편하면서 언론사 구독 설정에서 지방언론은 전부 빼고 44개 중앙언론사로만 구성했다. 그 뒤 네이버에선 지역 언론 기사를 보기 힘들고 중앙언론들만 활개를 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충청권언론학회는 지난 20일 ‘포털 중심의 뉴스 유통구조 문제, 지역 언론 대응 방안’이란 세미나를 열어 이런 문제를 고민했다.

백강희 교수(한남대)는 “네이버에서 지역신문 뉴스의 노출이 줄어들면 지역 의제의 노출 기회가 줄어들 수 있다”며 “중앙언론 위주로 노출되는 네이버 편집방식은 중앙언론이 중요하게 판단하는 의제와 가치를 중심으로 뉴스가 유통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네이버가 편집기준과 기사 평가 방식을 바꾸면서 이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역언론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네이버에서 지역언론이 배제되면서 지역 주민들은 지역 뉴스조차 중앙언론사가 제공하는 기사를 통해 접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중앙언론은 지역언론에 비해 지역 뉴스를 깊이있게 다루기 어렵다. 백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4, 5월 두 달간 네이버에 노출된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대전 관련 기사 중 40%가 날씨 기사였다. 기사의 노출은 그 언론사의 영향력을 높이고 기사의 조회수만큼 수익도 늘어나게 된다. 중앙 언론사는 대전의 날씨 기사로도 장사를 하도록 해주면서 지역언론은 배제하고 있다는 얘기다.

네이버가 '망중립성' 어기고 지역언론 외면할 때 벌어지는 일

네이버가 우리나라 뉴스 유통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는 현실에서 네이버의 지역언론 배제는 지역주민과 지역언론의 차단을 방기하겠다는 말이나 마찬가지다. 그것이 의도된 것은 아니라 해도 중앙언론 위주의 편집정책이 가져온 결과라는 점에서 네이버는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물론 반론도 있을 것이다. 네이버가 지역언론에 대해 가졌던 기대와 결과가 다른 점이 있었고, 이것이 지방언론을 외면하는 쪽으로 간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지방언론에만 책임을 물어 지역언론을 배제하는 것은 인터넷 기본정신인 ‘망(網)중립성 원칙’에 위배된다. 통신망 제공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고 차별 없이 다뤄야 한다는 게 망중립성 원칙이다. 인터넷 사업이 여느 사업과 다른 점이다. 네이버가 삼성과 다른 점이다. 삼성 네이버 모두 기본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지만 네이버는 이익에 앞서 이런 망중립성의 원칙과 공유정신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기업이다. 네이버가 특정 세력, 특정 부류, 특정 계층만 편드는 정책을 편다면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가져올지는 충분히 짐작해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방분권 강화를 위해선 지방으로 내려온 권한을 지역 주민들이 제대로 감시하면서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가 실시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중앙에서 넘겨받는 권한을 시도지사 등 자치단체장 혼자 행사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안 될 일이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서라도 지방언론이 살아야 한다. 지방언론을 죽이고 살리는 칼자루를 쥐고 있는 네이버가 나몰라라 한다면 지방은 어둠속으로 빠져들어갈 수밖에 없다. 네이버는 지방언론들과 지방언론의 기사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