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률 2년새 3%p 급락, 고용시장 불안요인
서비스업종 취업자 84.2%가 ‘청년’, 기형적 요인  
지역 경제계 “산업구조 개편, 중장기 대책 절실”

대전의 청년고용률이 2년새 3%p 급락하면서 전체 고용시장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대전의 청년고용률이 2년새 3%p 급락하면서 전체 고용시장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대전의 고용시장이 불안하다. 청년고용률이 수년간 급락하면서 전체 고용률마저 끌어내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대전시가 고용지표 개선을 위해 300억 원을 투입하는 ‘대전형 좋은 일터 브랜드화 사업’ 등을 구상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산업구조 개편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12일 <디트뉴스>가 입수한 ‘대전시 일자리 정책방향’ 자료에 따르면 대전의 고용률은 지난 수년간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16년 64.6%이던 고용률은 2017년 64%, 지난해 63.9%로 하락했다. 

청년고용률 하락이 전체 고용률 하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의 청년고용률은 2016년 41.1%에서 2017년 40.2%, 지난해 38.1%로 2년새 3%p나 하락했다. 청년들이 체감하는 고용절벽은 더욱 심각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문제는 개선가능성도 엿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최근 고용률 추이가 이를 방증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9월 59%였던 대전지역 고용률은 11월 58.9%, 12월 58.3%까지 떨어진데 이어 지난 1월에는 57.8%까지 하락했다. 최근 들어 고용지표가 더 안 좋아 지고 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고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대전의 산업구조가 고용률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고 보고 있다. 서비스업종의 고용률 하락은 이미 전국적 현상으로 굳어졌다. 대전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서비스업에 취업하는 청년층 비율이 84.2%에 이를 만큼 기형적인 현실이 대전에 더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 발 더 나아가 약 10%에 이르는 ‘일자리 미스매치’까지 벌어지면서 고용률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대전시는 파악하고 있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구인은 약 9만 명이었던데 반해 실제 채용은 8만 1000명에 그쳤다. 일자리는 있지만 채용되지 못한 인력이 9000명이나 됐다는 뜻이다. 

시는 제조업 기반의 일자리 질을 개선하기 위해 ‘대전형 좋은 일터 브랜드화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내년부터 매년 200개 기업씩 좋은 일터를 1000개까지 늘려가겠다는 계획이다. 국비확보를 통해 300억 원을 집중 투입해 근로시간 단축과 노사관계 개선, 문화여가 활동 지원 등 8대 핵심과제를 수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나마 내년 이후로 예상되는 신세계 사이언스콤플렉스와 현대아울렛 등 대형 유통 입점이 신규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시는 약 6800명 정도의 신규고용을 예상하고 있다. 

이 밖에도 대전시는 일자리지원센터 기능을 강화하고 충남도 사례를 벤치마킹해 ‘대전고용네트워크’를 설립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지역 고용시장을 진단하고 대응하는 전문적 기능을 보강하려는 시도다. 물론 이 같은 일자리정책이 얼마나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근본적으로 청년들의 창업을 지원하고 우량기업을 유치하는 등 산업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절실하다”며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로는 대전의 젊은이들이 고향에 정착해서 미래를 설계하기 어렵다”고 단언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