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사고 2건 사망자 대부분 20대 청년
무기생산, 위험에 투입된 ‘입사 1개월 20대 인턴들’
노동청 특별감독 486건 적발됐지만 ‘무용지물’
정치권 “청년들 위험에 내몰지 말라” 진상규명 촉구

14일 한화 대전공장 폭발사고로 사망한 김모씨 빈소. 한화 관계자들이 보내온 화환이 줄지어 서있다.
14일 한화 대전공장 폭발사고로 사망한 김모씨 빈소. 한화 관계자들이 보내온 화환이 줄지어 서있다.

9개월 사이 2번의 폭발사고로 사망한 한화 대전공장 생산직 노동자 8명 중 6명이 1989년 이후 출생한 20대 청년들인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2명도 1985년 이후 태어난 30대 초반의 젊은이들이었다. 

15일 대전지방노동청에 따르면 한화 대전사업장에서 숨진 8명의 노동자 중 7명이 입사 5년차 미만의 사회초년생들이었다. 특히 이들 중 2명은 입사한지 1개월도 안된 ‘인턴’ 신분이었다.

이번 사고로 숨진 ‘인턴’ 김모(25)씨는 아직 대학도 졸업하지 않은 재학생 신분이다. 

김씨 조문을 위해 대전 유성선병원 장례식장을 찾은 한 친구는 “○○이가 보안시설이라며 자세한 이야기는 안했지만, 그냥 일이 매우 힘들다고만 했다”며 “이번에 인턴으로 입사한 것이 아니라, 일을 하다가 그만두고 (같은 공장에) 다시 인턴으로 들어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위험천만한 방산업체 생산현장이 ‘대학생 아르바이트’ 수준으로 운영되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본보가 채용전문업체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한화 대전공장은 ‘전문직’이라는 이름으로 단기 계약직과 인턴사원을 수시로 채용해 왔다. 학력과 자격증 보유 등을 따지지 않는 계약직 채용공고도 다수 확인됐다.  

대전지방노동청은 오는 18일부터 한화 대전공장에 대한 특별감독에 들어가기로 했다. 산업재해 관점에서 안전관리 실태 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그러나 ‘왜 청년들의 죽음인가’라는 의문을 해소할 수 있는 고용·인사구조 점검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노동청은 지난해 한화 대전공장 폭발사고 직후 특별감독을 실시해 총 486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 사법처리 126건을 비롯해 2억 6000여만 원의 과태료, 217건의 시정명령을 내렸지만 9개월 만에 동일한 사고가 또 발생했다. 특별감독의 실효성이 의심되는 이유다. 

안전관리 실태에만 초점을 맞춘 특별감독을 벗어나 고용·인사구조 점검, 근본적인 재발방지대책까지 마련하는 고강도 조사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대기업 방산업체가 원가절감을 위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낮은 청년들을 생산현장에 투입하고 안전관리 등에 소홀했다면 ‘사회적 살인’이라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서울 구의역 스크린도어 압착사고로 사망한 19세 청년, 지난해 대전물류센터 감전사고로 사망한 23세 청년, 태안화력발전소 컨베이어벨트 사고로 사망한 24세 故김용균씨 사건 등은 위험한 노동현장에 내몰린 청년들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정치권도 ‘청년의 죽음’에 주목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번 사고 후 논평을 통해 “최근 노동 현장에서는 인턴, 계약직으로 채용된 청년들의 안타까운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고가 이어지는 것은 아직 일에 익숙하지 않은 청년들이 위험한 일에 내몰리는 ‘위험의 청년화’와 함께 비정규직이나 파견직 신분에게 쏠리는 ‘위험의 외주화’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더 이상 청년 노동자들이 위험한 노동으로 내몰려 희생으로 이어지는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며 “청년의 희생이 계속되는 현장에 대한 철저한 사회적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 = 김재중·류재민·정인선·이혜지 기자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