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저비용 고효율 전략 통할까? 사후관리도 관건
서남부스포츠타운-베이스볼드림파크 사업도 ‘변수’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7일 오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위한 협약에 서명하기 위해 대전시청 5층 대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왼쪽부터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7일 오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위한 협약에 서명하기 위해 대전시청 5층 대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왼쪽부터 이시종 충북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허태정 대전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충청권 4개 시·도가 2030년 아시안게임을 공동 유치하겠다는 ‘그랜드플랜’을 제시하자, 당장 자치단체 재정악화와 경기장 사후 관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렀던 인천의 경우 주경기장 운영에만 한해 20∼30억 원의 적자를 기록, 누적적자가 100억 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4700억 원을 들여 지은 주경기장 운영에만 이 같은 적자가 누적되고 있어 자치단체 재정상황을 계혹 악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때문에 충청권 4개 시·도는 비용분담을 전제로 한 '저비용 고효율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중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7일 충청권 4개 시·도 업무협약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4개 시·도 분산개최를 통해 재정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4개 시·도가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 한 도시가 아시안게임을 치렀던 것에 비해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선희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아시안게임 개최를 위해 충청권 4개 시·도가 부담해야 할 돈은 10년간 해마다 300억 원 안팎으로 감당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국장에 따르면, 아시안게임에 필요한 36개 종목 경기장 중 충청권 4개 시·도가 이미 보유해 활용가능한 경기장은 15곳이다. 신축이 필요한 경기장은 17개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4개 경기는 다른 시도 분산개최가 불가피하다.

충청권 17개 경기장 신축에 필요한 예산은 대략 1조 2500억 원. 4개 시·도가 이를 분담할 경우 1개 자치단체 당 약 3000억 원을 부담해야 한다. 대회 준비기간 10년을 감안하면 1년에 300억 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최근 IOC 등 국제스포츠 행정조직이 ‘한 국가 한 도시 개최’보다는 ‘복수국가 복수도시 개최’를 선호하고 있는 것도 충청권 공동개최에 유리한 환경”이라는 것이 한 국장의 설명이다. 

그는 “국내에서 2곳 정도가 아시안게임 유치를 희망하고 있지만, 아직 공식화하지는 않고 있다”며 “이달 충청권이 문체부와 대한체육회에 유치의향서를 전달하면 최초의 공식제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시가 신축 경기장의 사후 활용문제에 대해서 “스포츠마케팅 전략을 잘 짜겠다”는 원론적인 해법만 제시하고 있는 점은 아쉬운 대목으로 손꼽힌다. 2002년 월드컵 개최 이후 적자만 쌓아가고 있는 대전 월드컵경기장 사례는 사안의 심각성을 방증하고 있다.     

대전으로선 스포츠마케팅을 위한 인프라 자체가 없어, 아시안게임 유치가 기회로 작용할 수 도 있다. 한선희 국장은 “문체부가 해마다 국제대회를 지원해 주는데, 올해 17개 지원 사항 중 충청권은 단 1개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인프라확충을 위해서라도 아시안게임 유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중앙정부에 주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진척이 더딘 대전 서남부스포츠타운 조성, 한화이글스 신축구장인 베이스볼드림파크 조성 사업도 아시안게임 유치와 맞물려 있는 중요한 사업이다. 대전시가 다른 시·도와 어떻게 협의를 이끌어내느냐에 따라 기존 조성계획이 변경되는 등 큰 변수를 만날 가능성이 크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서남부스포츠타운, 베이스볼드림파크 조성과 아시안게임 연동 가능성에 대해 “지금은 충청권 4개 시·도가 아시안게임 공동개최에 합의한 수준일 뿐, 앞으로 유치를 확정하는 과정에서 각 시·도가 어떤 행사를 어떤 규모로 유치해야 할지 협의하고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라는 큰 틀의 합의만 이뤘을 뿐,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는 의미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 2017년 권선택 전 시장 재임시절 아시안게임 유치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지만 시민단체와 정치권, 언론의 비판에 직면해 추진동력을 상실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