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기본계획 후 23년 장기표류 ‘마침표’
염홍철의 ‘고가방식’ 권선택 ‘트램’으로 변경

대전도시철도2호선 트램 노선도. 대전시 제공
대전도시철도2호선 트램 노선도. 대전시 제공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이 29일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결정으로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23년 장기표류에 종지부를 찍게 된 것.

대전 도시철도의 기본계획 승인은 1996년에 이뤄졌다. 1호선은 2007년에 개통했지만 2호선은 기본계획 승인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고가자기부상열차와 트램이라는 설전 속에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했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은 지난 2012년 11월 ‘고가 자기부상열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2014년 건설방식을 노면전철인 ‘트램’으로 변경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 

권 전 시장은 자기부상열차방식은 도시 경관을 해칠 우려가 있고 사업비 부담이 크다는 이유를 들었다. 당시 권 전 시장측은 지상고가 방식에 1조 3600여억 원이 소요되는 반면 트램 방식은 절반인 6300여억 원으로 가능하다는 논리를 폈다. 

권 전 시장은 2016년 10월 전문가 자문회의와 시민공청회를 거쳐 마련한 최종 기본계획변경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는 등 막바지 조율에 나섰다. 그러나 2017년 11월 트램을 야심차게 밀어붙였던 권 전 시장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중도 낙마하면서 트램은 위기 국면을 맞이했다.

이후에도 트램은 제자리걸음을 걸었다. 2017년 말 정부(기획재정부)는 트램의 기본계획 변경안에 대해 타당성 재조사를 시에 요구했다. 후속 조치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타당성 재조사에 착수했지만 결과 발표가 지연되면서 추진동력을 상실했다는 비관론이 번져갔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후보시절 도시철도2호선 트램사업 추진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타당성재조사를 통과하면 기존 계획대로 추진하겠지만, 통과하지 못하면 대중교통 확충 등 다른 대안을 모색하겠다는 모호한 입장을 유지했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타당성 재조사가 완료됐지만 결과가 좋지 않다”는 출처불명의 소문이 대전시 안팎에 떠돌았다. 결국 대전도시철도 2호선 사업이 불발될 것이란 우려가 최고조에 오른 시기였다. 

기회는 지난해 11월에 열렸다.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역 균형발전 치원에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큰 사업을 자치단체로부터 신청받아 평가한 뒤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SOC사업을 꽁꽁 묶었던 문재인 정부가 정책기조에 변화를 주면서 대전에 또 다른 기회가 열린 셈이다. 

이후 대전시는 도시철도2호선 트램 사업 등을 예타면제 대상사업으로 선정해 공모에 응했다. 그러나 예타면제 최종 결정전까지 결과가 불투명했다는 것이 대전시 고위직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기재부가 트램 사업을 대전만의 사업으로 바라보며 난색을 표명했으며, 특히 충청권광역철도망과 구간이 중복되는 트램 2구간 건설에 대해서는 막판까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는 것. 

허태정 대전시장은 29일 기자회견에서 “2구간 건설이 포함돼 완전한 순환선을 구축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큰 성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다만 테미고개 구간 지하화는 끝내 포함되지 않아 대전시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 기재부가 8080억 원의 총사업비 중 테미고개 구간 지하화 사업비 540억여 원과 예비비 등을 반영하지 않으면서 약 1000억 원의 추가 재원마련이 필요하다.

허 시장은 “기재부와 계속 협의하겠다”며 테미고개 구간 지하화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박제화 시 교통건설국장은 “사업비 조정 과정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긍정적 전망을 제시했다. 

대전 5개 자치구를 모두 연결하는 총연장 37.4㎞ 순환선 트램은 2025년 개통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