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결과는 30일 뒤 발표... 올해 총 15회의 인공강우 실험 계획"
대전시 "'먼지먹는' 분진흡입차... 오는 7월 도입 예정"

인공강우 실험에 이용되는 기상항공기. 사진 기상청
인공강우 실험에 이용되는 기상항공기. 사진 기상청

기상청이 올해 첫 번째 인공강우 실험을 25일 서해안에서 실시한다. 결과는 전문가 검토회의 등 분석을 거쳐 약 30일 뒤 공식적으로 발표할 예정이어서 과연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인공강우는 강수입자 성장을 유도하는 구름 씨앗(인공강우 물질)을 구름에 살포해 비가 내리게 하는 기술로,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임대항공기를 이용해 총 42회 소규모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했고 작년부터 기상항공기를 활용했다.

우리나라의 인공강우 기술은 선진국 대비 약 73.8% 수준이지만 미세먼지 저감에 활용해 성공한 사례는 없다. 

이에 일부 네티즌 사이에서 “중국의 잦은 인공강우 실험으로 우리나라의 성공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기상청은 “인공강우의 영향이 나타나는 최대 거리는 약 200km 정도, 한반도와 중국의 최단 직선거리가 약 320km이므로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 예상된다”며 “우리나라 서해·경기권의 실험도 일본까지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공강우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이 이뤄질 수 있을지에 대한 국민 의견이 분분하다. 우선 인공강우 실험에 드는 비용과 인공적인 기후 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를 우려하는 반대 여론이다.

기상청은 “인공강우 실험 수행에 직접적 비용은 구름 씨앗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1발에 약 30만 원, 한 번 실험에 최대 24발 사용으로 대략 720만 원 가량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름 씨앗은 제설제로 흔히 쓰이는 염화나트륨과 인체 유해성이 없는 요오드화은을 이용한다”며 “시속 350km 이상의 항공기에서 분당 40g 수준으로 살포되어 인체 및 생태계 교란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을 기대하는 여론도 있다. 국가적 문제인 미세먼지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이든’ 해봐야 한다는 의견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미세먼지와 관련한 청원이 약 4,000여 건에 달한다. “미세먼지를 해결하라”는 대책 촉구부터 “마스크 가격 하향”, “교실 공기청정기 설치 의무화” 등 건의 청원까지 빗발치고 있다.

‘미세먼지 대책 마련’은 지난해 4월 말 경 27만 8128명의 동의를 받아 그해 5월 16일 청와대로부터 공식 답변까지 받은 청원이다. 그러나 당시 뾰족한 수가 등장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국민청원이 이어져왔다.

인공강우 실험은 산불 빈발 시기에 식생의 건조도를 낮추고, 봄철 가뭄기간 댐 주위에 수자원을 확보하는 등 미세먼지 저감 대책 이외에도 활용도가 있는 기술이다. 다만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 확보가 이뤄져야 하는 문제로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공강우 실험과 연구가 뒷받침돼야 한다.

기상청은 “올해 총 15회의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보건 마스크 착용과 외출 및 실외활동 자제를 권고하는 등 미세먼지로 인한 비상에 몇 가지 조치사항을 내놓았다. 구 단위로는 어린이집·경로당 공기청정기 지원, 소외계층 대상 보건 마스크 보급 등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태정 대전시장의 공약 사항 중 하나인 ‘먼지먹는 하마 플랜’을 시행할 분진흡입차도 오는 7월에야 도입될 예정으로 당장의 대책이 미흡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