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한 어항 안에서 성질이 사나운 물고기와 조금 덜 사나운 물고기와 바닥청소 물고기가 살고 있었다. 그들은 처음부터 그렇게 살지 않았다. 처음에는 성질이 덜 사나운 물고기와 다른 물고기를 함께 살았는데, 결국 한 마리의 물고기만 남고 다 죽었다. 다른 어항에서도 똑같은 상황이 일어났다. 그래서 결국 살아남은 두 마리의 물고기를 한 어항에 살게 했다.

역시나 물고기의 세계도 강자가 지배를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덩치가 큰 물고기가 다른 물고기를 계속 공격하니 다른 물고기는 여과기 뒤로 숨어 살게 되었다. 먹이를 줄 때도 먹지 못하게 공격을 하여 겨우 숨어서 떨어지는 먹이만 먹었다.

그렇게 7년을 살고 난 후 어항 속에 철망으로 공간을 나누게 보았다. 그런 뒤에도 늘 숨어 살았던 물고기는 여전히 숨어 살면서 그 공간을 나오지 못했다. 조금 나왔다가도 도망하고, 큰 물고기는 계속 철망을 입술에 부딪치면서 공격을 시작했다. 결국 입술이 헐고 피멍이 들었다. 그 정도로 성질이 사나웠다. 물고기가 오래 산 이유도 있겠지만, 결국 큰 물고기가 죽었고, 공간을 나누었던 철망을 빼주었는데, 하루가 지난 다음 날 작은 물고기와 바닥청소 물고기가 동시에 죽게 되었다.

작은 물고기는 늘 큰 물고기에 대해 피학의 대상이 되었다. 오랜 시간동안 익숙해지므로 습(習)이 되었다고 말 할 수 있다. 마치 코끼리를 어릴 때부터 묶어서 키우다 보니, 나중에는 밧줄을 풀어놔도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함과 같다.

작은 물고기는 처음에는 가해하는 입장이었지만, 그것을 잊어버리고 피학인 상태만을 기억하면서 환경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롭지 못하는 두려움으로 시간을 보냈다. 피학과 가학이 자신 안에 같이 존재했다가 가해하지 않으면 자유로울 것 같은데도 너무 피학에 익숙해지다보니 기억을 상실하기도 하나보다. 그 환경에 익숙해져야 하는데, 결국 자신을 이기지 못했다.

사실 물고기가 죽은 이유는 단순하다. 죽을 때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물고기의 죽음이 두 마리의 물고기에게는 엄청난 슬픔과 우울의 상황으로 자신들의 삶을 조금 더 빨리 죽음으로 몰고 가지는 않았나 잠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런 상황은 비단 물고기만이 아니다. 그것을 ‘자연의 이치’라고 말한다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그들의 심리구조를 점검해 봐야 될 듯 하다. 철망을 끝까지 하지 말았어야 자연의 이치였을까? 그러나 어떤 상황에도 적응해야 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은 아니었을까? 자연은 그대로 적응하게 내버려둔다. 그러나 적응하지 못하는 마음은 누구의 몫일까? 그것은 그 자신의 몫이고 자신이 선택한대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우리는 누구나 다 드라마틱한 삶을 살고 있다. 그 삶이 평탄하든, 그렇지 않든, 또는 TV에서 보여주는 수많은 연예인들의 화려함 뒤에는 그들의 인품들이 다양하게 숨어있다. 우리는 자신 속에서 보지 못하는 모습들이 너무나 많다. 어쩌면 1%만 보고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1%는 숫자에 불과할 뿐 그만큼 자신도 모르는 모습들이 많다. 숫자 1은 숫자에 불과하다. 한순간 1이 100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시나무새’ 노래 가삿말 ‘내 속에 내가 너무도 많아서’도 있다. 또한 증명할 수 없는 일들이 매순간 얼마나 많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알지도 못한다. 그러한 일상 속에서 자신의 감정변화도 놓치고 살 정도의 무심한 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소중한 감정변화를 보지 못하고 놓치기 때문에 보여지는 삶 속에서 계속해서 가면을 써야만 한다. 그것 또한 자신에게 스스로 가학과 피학을 공존케 하고 있음을 알게 되면 지금 현재의 삶에서 좀 더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