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조성·관광지 개발 등, 공장 오폐수 바다유입 등 어장 황폐화
육수와 해수 교차지 방조제 축조…생태계 파괴, 고급어종 멸종
어업권·어선 급감…수지타산 못 맞춰 출어포기, 어민 생계대책 마련 시급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 수산자원 조성과 함께 지속적인 바다정화 및 개펄 지키기 운동 펼쳐야

과거 개펄과 황금어장이었던 당진 대호방조제와 벼수확을 마친 한가로운 간척농지 너머로는 당진화력 회처리장, 올망졸망한 섬들, 더 멀리는 서산 대산석유화학공단이 보인다. 육수와 해수의 교차지에 축조된 방조제는 생태계를 급격히 파괴해 맛좋고 수익성 높은 고급어종을 멸종시키는 등 어장 황폐화의 주범이다.(사진=당진시 제공)
과거 개펄과 황금어장이었던 당진 대호방조제와 벼수확을 마친 한가로운 간척농지 너머로는 당진화력 회처리장, 올망졸망한 섬들, 더 멀리는 서산 대산석유화학공단이 보인다. 육수와 해수의 교차지에 축조된 방조제는 생태계를 급격히 파괴해 맛좋고 수익성 높은 고급어종을 멸종시키는 등 어장 황폐화의 주범이다.(사진=당진시 제공)

글싣는 순서
1. 천연해안선이 사라진다
2. 다시 생각하는 농업용수 및 간척지 개발
3. 산업화에 따른 매립사업
4. 어장 황폐화
5. 원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대책 마련 시급
6. 개펄 및 공유수면 보전방안
 6-1. 공유수면 매립정산의 문제점
 6-2. 석문지구 간척지
 6-3. 발전소 회 처리장 주민들에게 돌려줘야
7. 개펄 보전 캠페인 지상토론회

충남 서북부지역이 농지·공단 조성 및 도시·관광지 개발 등 각종 서해안 개발 사업으로 생태계 변화, 어장잠식 및 황폐화 등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1980년 이후 당진지역에는 △농지 및 담수호 조성(삽교천·대호·석문지구 등) △전원개발(당진화력, GS EPS) △공단조성(현대제철, 고대·부곡공단, 석문산단 등 다수) △항만개발(당진·평택항) △관광지 개발 및 대단위 사업(도비도 농어촌휴양단지, 서해대교 및 행담도 연접개발사업) 등 엄청난 개발이 진행됐다.

특히 육수와 해수의 교차지에 아산만·삽교호·대호·석문방조제 등이 축조돼 생태계가 급격히 파괴됐으며, 맛좋고 수익성 높은 고급어종이 멸종된 상태다.

실제로 지난 1970년대까지만 해도 당진 한진지역의 특산물이었던 준치·삼치·강달어, 석문지역의 숭어·꽃게 등이 아예 멸종됐다.

1976년 당진 석문면 삼화리 굴투석 양식장. 1995년 석문방조제 완공으로 3740㏊의 개펄과 이 양식장을 포함한 76건 1232㏊의 어업권, 어선 46척, 맨손어업 2126건, 염전 35건 325명 등 약3000명 이상의 어민들이 생계의 터전인 황금어장을 잃었다.(사진=당진시 제공)
1976년 당진 석문면 삼화리 굴투석 양식장. 1995년 석문방조제 완공으로 3740㏊의 개펄과 이 양식장을 포함한 76건 1232㏊의 어업권, 어선 46척, 맨손어업 2126건, 염전 35건 325명 등 약3000명 이상의 어민들이 생계의 터전인 황금어장을 잃었다.(사진=당진시 제공)

게다가 각 항·포구에는 보상으로 처분된 어선과 선령이 지나 대체해야할 어선의 무리한 조업으로 폐유가 유출돼 바다를 오염시켜 어족자원 급감은 물론 인근 양식장에까지 큰 타격을 주고 있다.

또 정화되지 않은 채 마구 쏟아지는 오·폐수, 폐비닐·농약병·깡통 등과 어선에서 폐기처분된 각종 어망·로프·스티로폼·나무 조각 등으로 인근 바다가 갈수록 오염돼가고 있다.

이로 인해 충남 서북부해안은 △연안 어장 상실에 따른 어획량 감소 △조류변화와 퇴적물 발생 △영양염류 공급단절 △플랑크톤 등 먹이사슬 파괴 △생태계 환경자원 급감 △양식어장 황폐화 등 해안의 물리·화학적 환경과 수산자원의 생태계가 파괴돼 자정능력 한계에 부딪혀 심한 홍역을 치루고 있다.

당진 바다목장 위치도. 당진시가 어장 황폐화에 따른 대체어장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3년~2016년까지 50억 원을 투자해 난지도 일원 250㏊에 인공어초 투하, 치어방류, 바다낚시터 조성 등 바다 목장화사업을 실시했다.(사진=당진시 제공)
당진 바다목장 위치도. 당진시가 어장 황폐화에 따른 대체어장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3년~2016년까지 50억 원을 투자해 난지도 일원 250㏊에 인공어초 투하, 치어방류, 바다낚시터 조성 등 바다 목장화사업을 실시했다.(사진=당진시 제공)

실제로 어업의 최성수기였던 지난 1980년대 초 관내 어업권이 2076㏊에서 현재는 그 당시의 2.4%인 50㏊(3건, 난지도 일원) 정도로 크게 줄어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 각종 개발에서 보상이 제외되는 한정어업 면허까지 포함할 경우 58건 811㏊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선 또한 764척에서 580척으로 줄었으며, 이중 140척이 낚시어선인데다 일부 어선을 제외하고는 출어를 포기한 채 장기간 포구에 정박해있다.

연안 어장 축소로 먼 바다까지 나가도 어획량이 크게 줄어 수지타산을 맞추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수면 및 육상 수조식 양식업 등 대체어장 개발을 통한 폐업어민 생계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당진시는 대체어장 및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매년 6억 원 상당의 조피볼락, 넙치, 점농어 등의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사진=당진시 제공)
당진시는 대체어장 및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매년 6억 원 상당의 조피볼락, 넙치, 점농어 등의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사진=당진시 제공)

특히 지금부터라도 각종 개발에 앞서 환경영향평가를 강화하고, 어민들의 안정적 소득증대를 위해 양식어장 확대 등 생산구조 전환대책과 함께 바다정화 및 개펄 지키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실시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오염물질 및 폐수배출업소, 불법어로행위 등에 대한 지도단속 강화 및 해안 내 장애물 제거 등 원활한 어업활동 보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주민 김 모(58·당진시 당진3동)씨는 “각종 공단조성과 배후도시 건설 등으로 공장과 생활 오·폐수가 서해안으로 마구 쏟아져 어장이 황폐화돼 어민들이 설 땅을 잃어가고 있다”며 “오·폐수배출업소, 불법어로행위 지도단속 강화와 함께 바다정화 및 개펄 지키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어장 황폐화에 따른 생태계 및 자정능력 회복을 위해 오·폐수배출업소, 불법어로행위 지도단속 강화와 함께 바다정화 및 개펄 지키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사진=당진시 제공)
어장 황폐화에 따른 생태계 및 자정능력 회복을 위해 오·폐수배출업소, 불법어로행위 지도단속 강화와 함께 바다정화 및 개펄 지키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사진=당진시 제공)

한진포구 어민 박 모(70·당진시 송악읍)씨도 “과거 1970년대 만해도 몇 발짝만 나가서 그물을 던져도 물 반 고기 반이던 연안 어장 축소로 먼 바다까지 나가도 어획량이 크게 줄어 수지타산을 맞추기 힘들다”며 “이제는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의 전환 등 어민 생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당진시 수산 관계자는 “개발지역 어민 생계대책으로는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의 전환과 함께 수산자원 조성이 중요하다”며 “당진시는 인공어초 투하, 치어방류, 바다낚시터 조성, 육상 수조식 양식장 육성 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당진시는 대체어장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3년~2016년까지 50억 원을 투자해 난지도 일원 250㏊에 바다 목장화사업을 펼친데 이어 매년 6억 원 상당의 조피볼락, 넙치, 점농어 등을 방류하고 있으며, 당진화력 회처리장 4㏊에 100억 원을 투입해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친환경첨단양식장을 조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