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시민사회 1차 포럼, 전문가 다양한 의견 쏟아져
해결책보다는 ‘도시계획·대중교통’ 분야 숙제 남겨

 

제1차 시민사회 포럼이 11일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시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도시계획과 대중교통 분야로 나눠 진행됐다.
제1차 시민사회 포럼이 11일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시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도시계획과 대중교통 분야로 나눠 진행됐다.

세종시가 젊은 도시 미래 콘셉트인‘대중교통중심도시’로 가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고 대체수단이 좋아지는 방안 중에 장기적으로 자전거와 보행, 스쿠터 등을 연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는 11일 열린 시민사회 1차 포럼에서 전문가들에게 나왔으며 이 같은 도시 특성을 전제로 대중교통과 도시계획 분야 숙제를 다양하게 내놨다. 

세종시는 대중교통을 위해 최근 내 집 앞 지선버스 6개 및 광역버스 1개 노선을 신설했다. 상당 시간을 기다린 끝에 탑승한 버스가 돌고 돌아 목적지가 이동하는 불편을 최소화했다.

이번 포럼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이 같은 단기적 처방전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최정우 목원대 교수는 “많은 전문가들이 수도권 교통 문제가 10년 안에 (세종시로) 돌아온다고 보고 있다”며 “전국 신도시를 보면 지선 버스를 이렇게 빨리 투입한 곳은 세종시 밖에 없다. 당장의 민원 해결에 급급해선 세종시 대중교통의 미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상민 국토연구원 박사는 “세종시에 내걸린 대중교통과 스마트시티 타이틀은 어울리지 않고 비알티는 중추 간선인지 다른 도시로 통하는 노선인지 명확치 않다”며 “지선버스 연결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지선버스 통행은 불법 주차로 인해 원활치 않다”고 주장했다.

김태균 LH연구원 박사는 “도시는 살아 움직인다. 비알티와 지선 버스를 타는 이들이 얼마나 되는 지 묻고 싶다”며 “실제 눈높이로 현실을 직시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수도권 신도시는 서울 중심부를 분산하는 개념이나, 세종시는 미래 주변의 메인도시가 된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미영 국토연구원 박사는 “처음(2016년)에 대중교통을 접한 후 6개월간 여기저기가 문제점 투성이로 비춰졌다”며 “그로부터 3개월 정도 지자니, 불편한 점은 공감하나 세종시 교통이 매우 잘되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이원화된 행정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고 (승용차) 대체수단이 좋아야 자동차를 놓고 움직인다”며 “기본적으로 버스 역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자전거와 보행, 스쿠터 등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주차장 유료화를 통해 자동차 이용을 억제해야 한다는 의견들도 많았다.

김태균 박사의 유료화 제안부터 국토연구원 박사진 및 시민 패널 등의 동의가 이어졌다. 다만 급진적 정책보다 주말 공공기관 무료 개방과 시간제 등 유동적 운영을 당부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한편, 도시계획분야에서는 2020년까지 설정된 행복도시 2단계 목표시기를 2~3년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부터 중간 평가 등을 거쳐 쉼표를 찍는 도시개발 및 주변 도시와 상생발전 마인드 강화를 주문하는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다양하게 나왔다. 또한 행복도시 개발 2단계 막바지로 향하는 2019년이 또 다른 분기점이 될 전망이란 의견도 제기됐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