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은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다름(Different)과 틀림(Error or Wrong)은 전혀 비교대상이 아니다. 다름은 ‘역시 천재라 다르군’ 에서의 ‘특별히 표나는 데가 있다’ 라는 의미를 지닌다.

더 쉽게 말하면 ‘같지 않다’ 라고도 말한다. 또한 ‘다르다’ 는 다양한 가능성과 창의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대감을 준다고 보았다. 그러나, ‘틀림’은 흔백 논리나 이분법적 사고에서 ‘이것 아니면 저것’ 둘 중 다른 것을 생각하거나 선택의 여지가 없다 라는 것이다.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도 ‘너는 내 생각과 틀려’ 라는 말은 ‘너는 틀렸어’라는 부정의 의미를 포함하기도 한다.

부부간의 갈등도 단어 사용에 있음을 보여주는 예로, ‘당신이 틀렸어’ 라는 말과 비언어적인 표정을 사용함으로 상대방의 인격을 무시하는 경향에서 싸움이 시작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갑자기 떠오르는 내용 중에 하나가 초등학생들이 채점한 시험 문제지를 들고 오면서, ‘엄마, 이것은 맞았고, 이것은 틀렸대’ 라고 하면서 빨간색 연필로 빗금을 사선으로 굵고 크게 그어진 경험을 하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어떤 학생은 ‘장대비가 쏟아진다’ 라는 핀잔을 듣기도 했다고 했다.

과거 얘기이다 보니 서로 공감하듯 배꼽을 잡고 웃기도 했다. 그래서, 우리는 무의식 속에 ‘틀렸다’ 라는 것은 마음에 상처를 주는 칼날처럼 다가오는지도 모른다. 마치 장대비에 젖어드는 눈물의 마음처럼 말이다.

결국 다름과 틀림은 서로 관련이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전혀 개념을 분별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데 오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영국의 철학자인 줄리언 바지니는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세계를 바라보려는 시도조차 해본 적이 없다면 당신 역시 스스로 구축한 작고 편안한 세계의 벽 너머는 바라보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라고 했다. 이것은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심리학에서의 가장 기본은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만큼 ‘다름’은 본질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우리는 서로 생김새, 성격, 걸음걸이, 말투 등 많은 부분이 다르다. 다름에도 불구하고 서로 틀리다고 말하면서 싸움이 시작되기도 한다. 특히 보여 지는 부분이 아닌 사고에서 오는 감정에서 오는 마찰이 많다.

산부인과에서 아이들이 태어나면 기념으로 손과 발을 찍어서 액자로 만들어 놓는다. 참 인상적이었다. 액자를 한 데 모아두면 다른 사람들은 누구 엄마의 자녀인지 모른다.

하지만, 엄마는 한 눈에 자녀의 손과 발의 액자를 찾아낸다. 그것은 모성애가 크게 작동함과 동시에 서로 다름을 구별할 수 있다 라는 것이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란 속담이 있다. 그 의미는 ‘사람이 훌륭해질수록, 높은 지위에 있을수록 겸손해져야 한다’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면, ‘보리는 익을수록 고개를 든다’는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 서로 다른 것이다.

숙이는 것이 마냥 좋은 것인가에 대한 반문을 해보 게 하는 좋은 예다. 인간의 깊은 마음을 건들어 줄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자신 안에서 스스로 언어에 구속되어 있지는 않는지 점검할 기회를 만들어보자.

‘다르다는 것은 틀린 것이 아니다.’ 또한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행복의 시작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