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화의 행복학교 공감동행]

정일화 충남고 수석교사(교육행정학 박사).
정일화 충남고 수석교사(교육행정학 박사).

교육부는 올해 초등학교 1, 2학년의 방과후 영어 수업을 금지하고 있다. 3학년 정규 교육과정부터 다루는 영어교육으로 내실화를 이루겠다는 입장이다. 영어교육의 조기 과열을 막고 사교육비 부담을 줄인다는 뜻도 담겨 있다. 아동의 성장을 고려하여 호응하는 학부모와 유아교육과 초등 3학년에 낀 1, 2학년에서의 영어 수업 부재는 연속성과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우려하는 학부모로 반응이 갈린다. 모국어가 탄탄해야 외국어를 더 잘 배울 수 있다거나 일찍 외국어를 시작해야 효과가 크다는 학계의 상반된 입장도 있어 학부모 간의 의견 차이는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교육부는 여러 통로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자 노력했겠으나 부정적인 의견이 상당하여 결과적으로는 부족했다고 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정규 교육과정을 강화해서 우려를 해소하겠다고 하지만 자녀가 장차 맞닥뜨릴 대학입시와 취업 에서 영어의 영향력을 아는 학부모가 손을 놓고 있기는 쉽지 않다. 취업시험에서 영어의 벽을 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면 학교의 책임을 절감하지 않을 수 없고 학부모의 심정이 이해가 된다.

이런 현실에서 여력이 있는 가정은 당국의 방침에 관계없이 사교육에 관심 가질 것이다. 규제를 피해 다른 길을 찾는 풍선효과가 예상된다. 공교육에 의지하는 가정은 자녀가 뒤쳐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떨치기 어려울 것이다. 유아교육과 연계해서 초등 1, 2학년의 영어교육의 공백을 메울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더 넓은 세상을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세계 공용어가 영어임을 떠올리면 영어교육 정책은 신중해야 하고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영어를 잘 하려면 배우려는 동기, 접하는 시간과 사용의 기회가 충분해야 한다. 우리와 같은 우랄알타이어 계통인 핀란드는 초등 3학년 때부터 정규 교육과정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고등학교 졸업까지의 영어 총 수업 시수가 우리와 비슷하다. 하지만 유아기부터 영어를 접하는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고 실용성 측면에서 접근하는 차이가 있다. 우리의 영어교육 정책은 이런 차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유아기와 아동기에 너무 빠른 교육은 모국어 습득에 지장을 주고, 배움을 회피하는 부담으로 작용해서 학습 지체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이해한다. 하지만 과거와 다른 아동의 성숙도에 비쳐 외국어 교육의 적절한 도입 시점에 대한 재검토와 개별 학습자의 성장과 태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핀란드처럼 유아기나 아동기에는 영어교육을 ‘학습’보다는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영어 교육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평창올림픽에서 최연소 금메달리스트인 스노보드 종목의 클로이 킴은 네 살 때 스노보드를 타기 시작했고, 골프 황제로 일컫는 타이거 우즈는 2살 때부터 골프채를 잡았다. 처음에는 챔피언이 목표가 아닌 놀이와 재미로 시작했을 것이다. 획일적인 금지 정책보다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놀이처럼 아동기에 알맞은 영어교육 방식을 제시하고 적용하는 일이 더 바람직하다.

모든 교육정책의 중심에는 학생의 현재와 미래가 자리해야 한다. 우리의 소중한 모든 학생이 사회나 세계로 진출하면서 영어로 인해 좌절을 겪어서는 안 될 일이다. 한 가지 잣대로 교육을 규제하는 것은 몸에 맞지 않는 옷에 몸을 맞춰 입으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 교육 당국은 자녀의 미래를 염려하는 학부모의 요구를 가장 잘 아는 현장에 교육의 답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