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오면서 각급 기관의 한해 성적표가 나오고 있다. 각 시도와 시도교육청에도 2017년 한해의 실적이랄 수 있는 성적표가 전달되었다. 안타깝게도 올해 대전시와 충남도교육청은 하위권을 면치 못했다. 대전시는 8개 특광역시 가운데 꼴찌를 기록했고, 충남교육청은 7개 부문 평가에서 2개 부문만 우수한 점수를 받아 하위권에 머물렀다.

개인이든 기관이든 성적이 좋지 않을 때도 있기 마련이다. 때론 꼴찌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꼴찌를 하더라도 자세는 중요하다. 성적표에 대한 대전시와 충남교육청의 반응은 꼴찌 성적표보다 더 큰 실망감을 주고 있다. 두 기관은 부진한 성적에 대한 반성보다 평가 자체가 잘못됐다는 변명과 핑계로 일관하고 있다.

대전시의 부진한 성적을 지적하는 시의원의 질문에 대해 시 간부는 “성적이 좋은 자치단체에 대해 다른 자치단체가 이의를 제기하는 등 태클을 거는 평가 방식의 문제가 있었다” “그동안 1위를 달리던 대전시가 집중적으로 견제를 받았다”며 황당한 답변을 했다. 김지철 충남교육감은 “평가 장부를 잘 정리하는 포장에 치중한 평가에 집중하기보다는 학교 현장 지원과 교실의 변화와 내실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한결같이 평가가 엉터리인 것처럼 말하고 있다. 그러나 공무원들에 따르면, 정부합동평가는 수십 개도 넘는 시도 평가 가운데 가장 공정하고 권위있는 평가로 알려져 있다. 교육부의 시도교육청 평가 역시 20년도 더 된 것으로, 가장 권위있는 평가로 볼 수 있다. 대전시와 충남교육청 반응은 내 성적이 좋지 않으니까 엉터리라는 말밖에 안 된다. 책임있는 자세가 아니다. 

충남교육청이 받은 성적표는 우리 지역 학생들이 받고 있는 서비스 수준으로 볼 수도 있다. 경북의 학생들은 △학교교육 내실화 △학교폭력 및 학생위험 제로환경조성 △능력중심 사회기반 구축 △교육비 부담경감 △교육현장 지원 역량강화 △교육수요자 만족도 제고 △시도 특색사업 등 7개 분야 7개 전 분야에서, 전남 학생들이 그 중 5개 분야에서 우수한 서비스를 받을 때 충남 학생들은 2개 분야에서만 우수한 서비스를 받았다는 뜻이다. 

교육부는 1천억 가까운 상금을 성적에 따라 시도교육청에 배분한다. 성적이 좋지 않은 충남교육청은 적게 받을 수밖에 없다. 장부를 잘 정리해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면 그렇게라도 해야 할 입장이나 어찌 장부 정리가 솜씨로만 가능하겠는가.

뭐든지 줄을 세워 서열을 매긴다면 문제가 있다. 그러나 기관 평가는 없을 수 없다. 시도와 시도교육청은 연간 수조 원씩의 세금을 쓰는 기관이다. 교육부 평가는 그 돈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여졌는지에 대한 평가도 된다. 꼴찌는 다른 지역에 비해 그 돈을 허투루 썼다는 의미다. 대전시와 충남교육청은 꼴찌 성적표에 대해 변명과 핑계로 넘길 일이 아니다.

권한은 가지면서도 평가는 받지 않았으면 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시도지사와 시도교육감은 지방에서 가장 큰 권한을 가지고 있다. 당연히 평가의 대상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우리 지역에선 꼴찌 성적표를 받으면 엉터리 평가 때문인 것처럼 말하며 책임을 회피하는 게 유행이 되었다. 꼴찌 성적표보다 이런 변명과 핑계가 진짜 꼴찌로 가는 길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