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제9차 세종평화통일포럼 열려...국민합의 기반 강화

제9차 세종평화통일포럼(이하 통일포럼)에서 통일국민협약과 남북관계 기본과제가 논의됐다.

이날 포럼은 13일 오후 2시 세종문화원에서 포럼회원, 사회단체, 자문위원, 학생, 시민 등 1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고희순 부의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안정적 대북·통일정책 추진 환경조성을 위해 국민합의 기반을 강화하고 현장중심의 평화 대북·통일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평화통일 포럼을 개최하게 됐다“고 취지를 밝혔다.

이영하 前 레바논 대사는 기조연설을 통해 “통일과정이 굳건한 한⋅미 동맹을 초석으로 시작돼야 하고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들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묵시적 또는 명시적 지지와 협조가 필수적"이라며 "통일한국이 역내에서 대결과 분열이 아닌 평화와 상생을 실현하는 ‘동북아 안보⋅경제 협력체’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는 점을 확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처음에 소련은 유보적 입장 그리고 영국과 프랑스는 반대입장을 보였지만, 미국의 강력하고 전폭적인 지지에 힘입어 마침내 독일은 통일을 향한 우호적인 국제환경을 조성하는데 성공했다"며 "이 사례는 우리에게 평화통일과 관련해 여러면에서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통일 정책역량 강화와 추진방향으로 ▲통일에 대한 무관심 경계 ▲북한 조기 붕괴론의 허망함 인식 ▲통일에 대한 비관론을 단호히 배척 ▲북한과 관계를 유지하는 국제기구에게 적절한 역할을 부여 적극 활용 등 평화통일이라는 역사적 지상명령이 우리에게 부여하는 과제는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이영하 전 레바논 대사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이 前 레바논 대사는 “대북제재 국면에서 우리 사회의 국론을 결집하기 위해서는 보수와 진보를 망라하는 범사회적 소통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국민 대통합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천명했다.

또 “국민과 함께 하는 통일준비 운동과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민주평통의 실천적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통일의 필요성, 비용, 후유증 등을 둘러싼 인식차이로 우리 사회 내 건전한 통일의식이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상황에서 통일의 실현가능성을 놓고도 비관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주목하게 된다”며 "각 계층, 분야 대상별로 통일교육이 필요하며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날 길병옥 세종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의 좌장으로 주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진희관 인재대 교수는 ‘새 정부의 통일정책과 ‘통일국민협약’ 추진 과제‘라는 주제에서 “과거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통일정책이 뒤바뀌는 결과로 인해 부정적인 요인들이 많아 국민공감대 형성과 남남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 등을 전개해왔으나 충분한 성과를 가져오지 못했다”면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는 단계적이면서 또한 가칭 ‘통일국민협약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국민통합기구를 설립해 나가야 한다”고 발표했다.

전일옥 단국대 교수는 ‘평화통일을 위한 실천적 통일방안’이라는 주제에서 “과거 정권에서 ‘핵 포기’라는 협상테이블 놓고 해 왔지만 실패한 것으로 협상테이블을 ‘남북 통일’이라는 주제로 페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면서 “남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선행조건 없이 현 상황에서 각각의 현 체제를 인정하는 가운데 남북이 통일의 주체가 되어 정부 간 협상이라는 방식으로 통합을 주된 것으로 통일을 완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희순 부의장이 개최 취지의 개회사를 하고 있다.

한창수 부산외국어대 교수는 “핵 문제는 생존적인 문제로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면서 “대통령이 임기내에 이뤄내야겠다는 성과주의 방식보다 가치 창출에 목적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순열 민주평동 세종지역회의 자문위원은 “통일이 일부 단체를 제외한 특정 정치권의 소유물로 바라만 보고 같이 할수 있는 것이 없었다”며 “비정치권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시민사회를 넣어서 국민적으로 합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명재진 충남대 교수는 “독일처럼 하루 아침에 통일 되는 것보다 통일을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며 “통일센터를 각 시도에 만들어 국민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상병헌 민주평동 세종지역회의 자문위원은 “남북이 수궁하기 어려운 선행 조건을 남북한 정부가 협의하고 협상을 통해 합의점을 도출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통일의 개념을 한반도라는 지리적 관점이 아니 민족적인 관점으로 포함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정종미 민주평동 세종지역회의 자문위원은 “통일 무용론이 젊은 세대들에게 팽배해져 있어 차이점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첫번째 토론 두번째 세번째 고희순 부의장 입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