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가 새 총장을 간선제 혹은 직선제로 선출할지를 대학 구성원의 투표에 부쳐 결정키로 했다. 지난 2015년 8월 부산대 고현철 교수가 총장 직선제와 대학 자율화를 요구하며 투신한지 2년 만에 직선제의 물꼬를 트는 일이다. 현행법상 국립대 총장 후보자를 직선제로 뽑는 게 불가능하진 않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재정지원을 무기로 사실상 직선제를 폐지해왔다. 간선제로 추천된 총장도 입맛에 맞지 않으면 제청이나 임용거부도 서슴지 않았다.

우리지역 거점국립대학인 충남대만 해도 간선제를 통해 2순위였던 오덕성 현 총장이 임명됨으로써 청와대 비선실세 개입 의혹 등 내홍을 겪었다. 얼마 전에는 이런 내용을 보도하려던 <충대신문>이 학생기자단과 주간교수와의 마찰로 신문발행이 중단됐었다. 오 총장 문제는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제기됐던 의혹으로 새로운 이야기가 아닌 데도 학교 측이 너무 과민한 반응을 보였다.

수년째 총장이 공석인 대학은 더 큰 문제다. 공주대를 비롯해 방송통신대, 광주교대, 전주교대, 춘천교대, 금오공대, 부산교대, 한경대 등 8개 국립대 총장이 현재 공석이다. 이중에서도 공주대, 방송통신대, 전주교대의 총장 1순위 후보자들은 교육부가 특별한 사유 없이 제청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해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공주대는 지난 2014년 3월 이후 무려 39개월째 총장 공석사태로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총장 공석의 가장 큰 문제는 정상적인 학교운영이 어렵다는 것이다. 총장은 대학운영의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총장 직무대행은 아무래도 최소한의 일만 수동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 3년 넘게 총장 공석상태가 계속된 공주대는 산학협력단 예산이 1000억 원에서 500억 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고 한다. 조직에 활기를 불어넣고 대학시스템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총장 공석사태부터 해결해야 한다.

다행히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대학 자율화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만큼 현 정부에서는 대학의 자율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직선제든 간선제든 대학 상황에 따라 구성원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총장을 선출하면 된다. 공주대처럼 총장 공백이 장기화되는 대학에 대해서는 서둘러 소송문제를 매듭짓고 학교를 정상화시켜야 한다. 생존경쟁시대, 대학이 혁신하기 위해서는 자율성 보장이 먼저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