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음현상’이용 반복 접촉, 맞춤 설계 가능 원리 규명

ETRI 연구진이 개발에 성공한 바이오 패치의 비선형 구조체의 모습.

국내 연구진이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접촉성이 좋아 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세포수준에도 달라붙는 패치 구조체 개발에 성공했다.

이로써 패치와 피부간 신호 및 물질 전달이 잘 이루어져 향후 생체진단 신뢰도나 약물 패치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이상훈)는 한국 과학자들이 주축이 된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복잡하고 울퉁불퉁한 곳에도 잘 달라붙는 바이오패치 구조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통해 향후 웨어러블 기기의 표면 설계에 접목할 경우 생체와 기기간 신호, 정보, 물질 전달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튼튼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전 세계 연구진들은 사람 생체표면에 달라붙는 웨어러블 기기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패치를 생체표면에 달라붙게 하기 위해 얇게 만들다보니 기계적 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막이 쉽게 찢어지거나 말려, 한 번 부착하면 위치를 옮기거나 떼기가 힘들어 1회용으로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ETRI는 문제점 해결을 위해 액체가 고체에 젖어 들어가며 정밀한 접촉이 이뤄지는 현상에 착안, 고체와 고체 사이에서도 젖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젖음현상(Wetting)’이라 정의, 현상을 규명했다.

연구진은 기계적 안정성과 우수한 젖음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PUA) 라는 고분자 소재를 사용해 임프린트 기반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구조들이 공존하는 박막을 제작했다.

젖음성이 뛰어난 얇은 나노 박막과 젖음성은 적지만 얇은 박막을 지탱할 수 있는 마이크로 박막들을 계층적으로 위치시켜 500 마이크로미터에서 800 나노미터 까지의 3층 계층 구조 박막을 제작했다. 따라서 본 구조는 멀티스케일 구조여서 해당 특성을 모두 갖는다.

이로써 탈부착이 쉽고 재사용이 가능할 만큼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수 마이크로미터(㎛) 세포수준의 거칠기에도 빈틈없는 접촉이 가능했다. 그동안 난제였던 기계적 안정성과 접촉성능의 한계를 극복한 셈이다.

연구진은 향후 사람의 피부에 잘 달라붙는 패치 개발을 통해 양질의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어 웨어러블 기기의 보편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