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은의 힐링에세이] 가득이심리상담센터 대표, 영화 <오빠생각> 통한 심리분석

영화 <오빠생각>은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체결되기까지 한국전쟁의 비극적이고 참혹했던 현실이 배경이다. 가족, 형제, 친구를 잃으면서도 어린이 합창단을 만들어내고 그 합창단이 빚어낸 전쟁 속 감동을 그린 영화다.

영화 속 한상렬은 전쟁터에서 가족과 동료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하는 모습을 통해 ‘합창단’이란 색다른 구성으로 잠재력을 발휘함으로써 자신의 아픔을 치유하게 된다. 한상렬은 전쟁 중에 조 상사를 구해준 은인으로, 예기치 못한 조 상사의 보은을 받게 된다.

조 상사는 헌병으로 안전한 군인생활의 보직을 받고 있었다. 조 상사의 추천으로 보육원으로 배치되는 한상렬. 그의 마음 속에 남아있는 순수한 마음과 노래를 통해 전쟁의 상처와 아픔에서 벗어난다.

한상렬은 보육원 아이들의 변화된 모습과 두려움을 품으면서 자신의 내면과 씨름을 하게 된다.

합창단을 구성하면서 만나게 된 동구와 그 여동생. 동구의 여동생에겐 하나의 상처가 있다. 어릴 적 빨갱이 인민군가를 부르면서 마을사람들에게 매를 맞아 죽게 된 아버지를 보면서 여동생은 노래에 대한 트라우마로 더 이상 노래를 부르지 않게 된다.

그럼에도, 동구의 간절함으로 여동생도 합창단의 일원으로 들어온다. 합창단 안에서 동구는 동네 친구를 만난다. 하지만 그 둘은 서로 앙숙이었다. 그 친구는 동구의 아버지로 인해 가족들이 다 죽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친구는 동구네 가족들에 대한 원망과 분노가 컸다. 합창단 연습을 하면서도 둘의 관계에 하모니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 때 한상렬은 “너희들은 같은 고향에서 살았고 친구였다. 빨갱이는 어른들이 만든 거지, 너희들이 만든 게 아니잖니? 싸울 거면 지금 여기서 싸워......”라고 말한다.

동구와 친구, 둘 사이에 싸움이 사라지자 ‘대니보이’ 노래를 부르고 틀린 사람이 진 것이라고 말하며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둘의 하모니는 듣는 모든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다. 서로가 느끼는 마음은 같은 것이었다.

그 둘은 전쟁에서 일어난 피해는 자신들의 몫이 아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한상렬의 사랑과 순수한 마음이 뭉쳐 아이들의 첫 합창단 무대는 성공적으로 끝마친다. 이후 계속 공연섭외가 들어온다.

하지만 전쟁 중이던 철원으로 합창 공연을 하러 가던 도중 동구가 인민군 총에 맞는다. 한상렬이 수혈을 해 주었지만 끝내 동구는 죽음을 맞는다.

죽기 전 동구는 여동생에게 “다시 노래를 불러 달라”고 말한다. “아버지의 죽음은 네가 노래를 불러서 그런 것이 아니라”는 말을 남기고 생을 마친다.

여동생은 다시 오빠의 소원이었던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오빠생각’이란 노래를 들으면서 별이 되어 간 동구. 동구의 말 속에 ‘고맙다’란 말과 ‘잘 못 살아서 벌 받았나 봐요’란 말은 객석을 눈물바다로 만들기에 충분하다.

결국 어른들의 삶 속에서, 전쟁이란 환경적 배경에서, 아이들이 감당해야 할 부분이 얼마나 버거웠을까라는 측은한 마음과 왠지 모를 슬픔이 밀려온다.

현실의 상황은 언제나 동일하지 않다. 사회적인 변화, 자신의 건강상태, 경제적인 흐름, 가족의 감정변화 등 자신을 흔들리게 하는 요인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건 그 어느 것도 자신을 퇴보하게 만드는 요인은 없다는 것이다. 결국 자신이 어떤 모습이 돼 있든지 간에 그것은 부모 때문도, 환경 때문도, 건강 때문도 아닌 자신의 정신건강에 달려있다.

자신이 무엇을 선택하든, 어떤 길에서 잠시 멈춰있든, 그 모든 것은 긍정의 에너지와 감사의 마음으로 다시 자신을 성장시킬 것이다. 자신의 트라우마 해결은 결국 자신이 용서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