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기고]그래서 나는 울보다.

오늘도 나는 운다. 눈물은 자기 정화이다. 슬픈 이야기나 드라마를 보아도 그렇고 책을 보다가도 슬픈 이야기가 나오면 그냥 눈물이 솟는다. 주변에 힘든 일을 겪고 있는 사람들, 병고에 신음하는 사람들, 인생의 밑바닥에서 힘겹게 사는 사람들, 억울하게 당한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이별, 공정하지 못하고 정의롭지 못한 일들을 목도할 때, 그리고 미완의 역사적 강물이 부끄럽게 흐를 때 나는 종종 운다. 

 

   
 

인생은 눈물이다. 수감번호 333번의 여동생을 떠올리려니 갑자기 눈물이 난다. 1987년 6.10 민주화 시위 현장에서 체포되어 종로경찰서에 수감 중일 때 촌로인 아버님과 면회를 갔던 그 기억은 또 나를 슬프게 한다.
 
군 제대하고 복학하여 대학 4학년 여름에 한가로이 청양 고추를 따던 우리가족은 시골마당으로 봉고 한 대가 들어오더니 여동생을 내 동댕이치고 무심히 달아나던 그 광경을 잊을 수가 없다. 노사분규를 주도하던 여동생은 관리직 구사대에 의해서 헌신짝 같은 존재로 시골에 격리시킨 강자와 약자의 논리를 생각하니 눈물이 난다. 시대적 아픔 속에서 절규의 한이 서린 그 시절을 떠올리려니 다시금 나를 세우고 경건한 마음이 생긴다.

 가끔은 나는 비운의 주인공인, 조광조, 정약용, 김옥균, 그리고 노무현의 이름을 떠올리며 그들이 이루려는 변혁의 역사가 미완의 역사로 끝난 것에 대한 통한의 눈물을 흘리곤 한다.

 5.18 광주의 진실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채 그 광란의 주인공들이 아직도 이 신성한 땅에서 당당하게 고개 들고 사는 모습에 가슴 아파 운다. 해방 전후사의 신통치 않은 질곡의 역사 그리고 완전한 해방이 되지 않은 남남 갈등과 종교적 대립은 인간의 존재가치를 회의(懷疑)적으로 보아 애통해한다.

정의가 실종된 사회를 살아감에도 눈물 흘리고, 아버님 산소 앞에서 당신의 삶이 얼마나 숭고했는가를 뒤 늦게 알고 통곡한다. 한 평생 늙지 않으실 것 같은 어머님의 휘어진 허리를 먼발치에서 훔쳐볼 때 나는 가슴이 시리도록 아프다. 그 아픔 뒤에 막내마저 먼저 보낸 어머님을 보면서 나는 누구이어야 하고,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제시받는다. 

 “인생은 흘린 눈물의 깊이만큼 아름답다.”고 하는데 아마 이 말은 인간 고뇌의 깊이만큼 그 눈물로 아름답게 성숙하는 게 인생이다. 라는 뜻이다.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지 못한 사람하고 어떻게 인생의 깊이 있는 내면의 이야기를 논할 수 있으랴. 

 나는 눈물이 없는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눈물이 없는 사람은 가슴이 메말라있다. 드라이한 사람은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유연하고도 탄력적으로 살아가지 못한다. 그 만큼은 자기만의 옹졸한 세계에 갇혀 살아가는 것이다. 잘못하면 자기 도그마(울타리)에 빠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인생 밑바닥까지 가 본 사람은 눈물의 의미를 실감한다. 하기야 극도의 슬픔의 한계에 도달하면 눈물은커녕 기가 막혀 멍하니 제 정신을 놓게 된다. 이제는 더 이상 내려갈 수 없는 나락에 떨어진 후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서는 사람의 아름다운 용기와 희망을 접하면 감격의 눈물이 솟아나기도 한다.

 사람은 자기가 흘린 눈물만큼 인생의 깊이를 안다고 한다. 눈물보다 아름다운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고뇌의 눈물을 씻어버리고 다시 바로 시작하는 용기와 투지가 있음에 인생은 살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울보다. 

송명석(영문학 박사, 무일교육연구소장)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