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메아리

감히 한국 교육을 말한다. 

<기고> 영문학박사 無逸敎育硏究所長 宋 明 錫

요즘은 눈뜨기가 무섭다. 자고나면 한 학생이 또 자살했다. 어디 학교 학생이 폭행을 당했다. 왕따 문제가 유행가 가사같이 들린다. 학교가 무너져 가고 있다. 교육이 중심을 못 잡고 흔들리고 있다. 한국사회가 흔들리고 있다. 모든 것들이 부실투성이다. 무엇이 어디부터 문제인지? 나름으로는 각 영역에서는 뭔가를 열심히 하고 있는데, 학교는 늘 혼돈 속에 있다. 이만불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의 현주소는 풍요속의 빈곤과 철학의 부재로 온통 몸살을 앓고 있다. 아마도 불완전한 시스템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시스템이 불완전 하다는 것은 결국 국가 발달론적 근거에 의해서 총체적인 부실과 사회 발전 역량의 정체성이 온전하지 못하다는 결론이다. 다시 말해 의사개념과 형식적 개념에 머무는 입시교육, 전면적 인간 발달에 반하는 발달 정체 시스템, 교육 관계를 적대시 하는 반 협력 교육, 불평등?고통시스템, 발달 정체에 따른 인간적 가치 제약의 문제, 의사소통의 부재와 민주주의 발전의 장애등이 그 문제의 핵심이다.

우선, 의사개념과 형식적 개념에 머무는 입시교육이 큰 문제이다.

경쟁위주의 입시교육을 하다 보니, 학생들의 개념적, 과학적 사고의 부재, 주체적, 자율적 인간 발달 실패, 협력적 민주적 의사소통 마비, 비판적 성찰과 창조성 부재 그리고 개개인 역량 발현과 문화 역사적 주체 역량 형성이 잘 안 되고 있다.

다음으로는 전면적 인간 발달에 반하는 발달 정체 시스템의 부실이다.

한국 교육의 목표가 실제적 교육의 목적과 방향, 역할이 인간 발달에 있지 않고, 지식 축적 정도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선발과 배치, 불평등의 정당화에 있고, 인간 발달과 지식의 양적 축적은 별개였고, 주입식 교육 경쟁적 사회 풍토 등 협력 환경이 없고, 흥미와 적성 탐색이 제한되었고, 민주주의적 사회 풍토 학습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오늘날 그 부메랑을 맞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교육 관계를 적대시 하는 반 협력 교육이 오늘의 결과를 초래한 이유다.

본래 목적과 실제행위의 대립관계 때문에 교육의 본래 목적, 즉 전인적 발달과 실제 교육형태, 즉 서열적 입시, 경쟁적 학습의 차이가 존재하게 되었다. 학력과 사회적 지위, 내신의 배분을 둘러싼 제로섬 경쟁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적대화가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도 적대화로 전이가 되어, 교육의 전문성과 입시교육의 요구가 부합되지 못하는 관계로 소통과 존중 없이 불신과 폄하를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더구나 보편적 교양교육을 하지 못하고 서열적 입시교육을 하다 보니 교육과정과 실제 교육이 괴리가 생기고, 사교육과 공교육이 대비되어 학부모의 불신은 점입가경이 된 셈이다. 게다가 진도를 맞추어야 하는 이유로 학생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했고, 과다 학생 수 때문에 교사와 학생간의 괴리 때문에 학생을 관리와 통제중심이 적대적 관계로 변질되어 결국 의사소통 부재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불평등 교육, 즉 고통 시스템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소모적 경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는 고통과 소외를 강요받는다는 것이다. 교사는 협력적 관계 파괴와 교육 노동의 소외, 과중한 노동 강요로 힘들어 하고, 학생은 인간적 욕구와 발달욕구가 억압되고 일상적 통제와 규제에 매어있고, 반복적 암기 학습과 과잉 학습시간 때문에 힘들어 하고, 학부모는 사교육비 고통 때문에 가족관계가 왜곡되어 온전한 가정, 학교, 사회가 원활하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육 자체를 고통으로 각인되다보니 교육이 진정한 인간 발달이 아닌 인고와 경쟁의 형태로 이미지화되고, 인간의 발달 지향적 욕구를 억압하고 교육 목표를 왜곡하는 주범이 되었다. 

끝으로, 지금 한국교육에서는 발달 정체에 따른 인간적 가치 제약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자신의 요구와 소질을 찾지 못한 채 입시 경쟁을 통해 서열화된 사회적 노동 분업 체제로 배치됨에 따라 종속적, 주변적 노동력과 사회적 지위 획득이 고착화되었다. 게다가 발달이 전 생애 동안 이루어지거나 학벌 사회가 전 생애를 규정하여 발달기회를 박탈하고, 총체적 주체적 인식의 부재로 사회적 모순을 극복하기보다 지배적 이데올로기와 문화에 규정 당함으로써 자신의 발달왜곡을 강화하는 게기가 되었다.

더구나 새로운 발달 기회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더욱 불평등하게 재분배되어 발달 격차를 확대해 미발달 상태를 지속하게 되었다. 또한, 노동소외를 넘어 존재론적 소외가 구조화되고, 협력적 본질의 상실과 비인간화로 지배계급 또한 존재론적 소외를 경험하다보니 배반의식과 삶의 소외의식이 첨예화되었다. 그리고 학교에서부터 협력태도와 기능 발달이 부재하여 경쟁 사회가 더욱 구조화되고, 서열적 평가에 익숙해져 승자 독식주의가 정당화되는 불평등과 비인간적 경쟁사회가 당연시되었다. 

마지막 하나를 덧붙이자면, 우리 사회는 의사소통 부재와 민주주의 발전의 장애가 많다는 점이다. 의사소통기능이 미발달 된 채 청소년기를 보내고, 타인 존중, 듣고 말하기, 매체활용 등의 기능적 발달, 개념과 인식공유 발달 지체로 협력적 의사소통의 부재와 힘의 논리가 강화된다. 게다가 일상적 과정에서 협력을 통한 상호 발달 과정이 제한되고, 사회적 차원에서 민주적 의사소통을 가로막고, 비논리적, 비과학적 담론 풍토가 조성된다. 

우리나라는 모든 면에서 엄청난 발전을 했다. 사실 교육이 기여한 면이 매우 크다.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그 순기능적 역할을 폄하 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문제는 질적인 면이다. 그리고 그 결과가 현재와 미래의 한국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우리의 문화유산을 후손들에게 어떻게 발전된 모습으로 물려줄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사회의 근간이 되는 정신적 패러다임인 교육 문제는 그래서 소중하고 유의미한 것이다.

지금까지 성장가도로 달려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가 사회발전 역량이 어딘가에 머물러 있다. 그것은 바로 제대로 된 시스템을 갖춘 교육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질추구에 충실한 교육, 인간 중심 교육과정, 상생?협력하는 교육 시스템, 자연과 함께하는 친환경적 교육, 내려놓음과 겸손의 미학으로 어우러지는 되돌아봄 교육 그리고 작은 가치를 소중히 다루고 그 속에서 존재와 생명력을 찾아 의미를 두는 교육이 지금 절실하다. 

그래서 우리는 질곡의 늪에 빠진 한국교육을 당장 과감하게 변화, 바꾸어야 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