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우의 족보이야기]-(107) 평산신씨(平山申氏)

   
뿌리공원에 조성된 평산신씨 조형물.전면/대전 중구
작품명

역사의 문 - 화합의 상

조각가 작품설명

수평과 수직의 화강석 조화는 平山申氏의 굳건한 역사이며 화합으로 하나됨을 뜻하고, 기러기와 활은 시조 장절공이 무인으로서 기예가 탁월했음을 상징하며 맑고 밝은 햇살은 평화와 진취적인 기상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감을 뜻한다.

   
뿌리공원에 조성된 평산신씨 조형물.후면/대전 중구

<뿌리공원에 새겨진 평산신씨 유래>

? 平山 申씨의 시조는 신라 말에 전라도 곡성에서 태어난 申崇謙 장군으로써 시호는 壯節公 이시다.사당과 묘역은 춘천시에 있으며 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다. 申將軍은 서기 918년에 太祖 王建을 받들어 고려를 개국함으로써 開國元勳 대장군이 되었으며 또한 인품과 무예가 출중하여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지만 특히 평산(平山)에서 보여준 무인으로서의 기예는 太祖 王建 이 감탄하여 平山 申씨로 사성하였다. 서기 927년 후백제와의 전쟁에서는 태조왕건이 위급한 처지에 이르자 왕을 대신해서 죽음으로 그 충성심과 살신성인의 고결함을 높이 평가해서 원래 태조의 묘소로 잡아놓은 곳을 신 장군의 禮葬地로 하였으며 宗廟에 配享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이후 자손들이 번창하여 15세에 이르러 19개 파로 분파되어 대성을 이루어 내려오고 있으며 시대를 초월하여 나라를 이끌어가는 文·武의 많은 인재와 국가, 사회발전에 공헌한 인사들을 많이 배출하였고 근세에 와서도 조선시대의 여류 문인이자 화가이며 효와 현모양처의 표상으로 겨레의 어머니라고 하는 신사임당이 있고 일제시대에는 항일독립투사요 건국 후에는 한국 민주발전의 초석을 이룬 해공 申翼熙 선생등이 있으며, 현대에 와서는 한국 경제발전과 선진문화 발전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한 전 국무총리 申鉉碻 등 각계각층으로 국가 사회발전에 공헌한 많은 분들을 배출한 명문가이다.

-----------------------------------

<김진우 해설>

 

 

   
                          시조 장절공 신숭겸 장군 초상

                               평산신씨(平山申氏)

도이장가 주인공,탄금대의 신 립,겨레의 어머니 신사임당

   의병장 신돌석,판소리 신재효,신익희,신현확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시조 신숭겸(申崇謙)은 고려개국공신으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고려 태조가 940년에 통일에 공이 큰 사람들에게 상을 내리면서 제정됨,940년 신흥사를 중수할 때 그곳에 공신당을 세우고 동.서벽에 삼한공신의 모습을 그렸는데 이 벽에 그려진 공신을 말함)에 책록되었으며,삼중대광(三重大匡:고려때의 정1품 문산계 1308년(충렬왕 34년)에 정1품으로 제정하였고 뒤에 벽상삼한을 덧붙였음)의 품계로 태사(太師:삼사의 하나로 정1품)에 오른 인물이다.

문헌에 의하면,그의 초명은 능산(能山,삼능산 三能山)이며, 전라남도 곡성(또는 광해주(光海州:현재의 춘천)출신)으로,태봉(泰封:신라 52대 효공왕때 궁예가 송악에서 세운 나라)의 기장이었다.

신숭겸은 태봉(泰封,후고구려)의 궁예가 왕위에 즉위한지 몇년만에 처자식을 살해하고, 백성을 혹사하는 등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서기 918년 배현경,홍유,복지겸 등과 더불어

당시 시중(侍中:백관을 통솔하고 서정을 총리하던 종1품 정승)이었던,왕건에게 왕창근,송합홍 등 점술가의 예언을 설명하면서 거사를 권하여 왕건을 고려 태조로 옹립한 고려개국원훈(高麗開國元勳)으로, 대장군(大將軍:종3품 무관)에 올라, 고려사(高麗史)에는 '고려개국 4공신'의 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어느날 태조 왕건이 장군들과 평주(평산 平山)에 사냥을 나가, 삼탄이라는 곳을 지날때 세마리의 기러기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누가 저 기러기를 쏘아서 맞힐 수 있는가" 하고 묻자,능산이 자신이 쏘겠다고 하여, 왕건이 활을 주면서 쏘라고 하자 "셋째 기러기 왼쪽 날개를 맞히겠다"고 하고 날아가는 세번째 기러기의 왼쪽날개를 쏘아  떨어뜨렸다.

이에 태조 왕건이 탄복하고, 기러기가 날던 땅 300결을 하사하고, 본관을 그 지역인 평산(平山)으로 삼게 하였으며, 이름을 숭겸(崇謙)이라 사명(賜名)했다고 한다.신숭겸은 서기927년(태조10)현재의 대구 공산동수의 전투에서 후백제 견훤에게 포위되어 전세가 위급하자, 태조와 용모가 비슷한 그는 태조를 피신케하고, 대신 어거(御車)를 타고 출전하여 용전하다 전사 하였다.

그의 죽음을 슬퍼한 태조 왕건은 춘천에 예장(禮葬)하고, "벽상호기위 태사 개국공 삼중대광 의경대광위이 보지절저정공신"(壁上虎騎衛太師 開國公 三重大匡 毅景戴匡衛怡 輔砥節底定功臣) 으로 추봉하고 시호를 장절이라 했으며, 신숭겸의 아들인 신보장(申甫藏)을 원윤(元尹:고려때 훈신의 작호,충렬왕때는 훈신 종2품,또는 향직 6품,태봉때의 벼슬)으로 삼고 지묘사(智妙寺:달성군 공산면 지묘동)를 세워 그의 명복을 빌었다. 

 

서기 1120년(예종15)에는 왕이 서경에 행차하여 <팔관회>가 열렸을 때,도이장가(悼二將歌)를 지어 김낙(金樂)과 신숭겸의 공(功)을 추도하였다.

도이장가(悼二將歌)는 고려 제16대 예종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로 태조 왕건을 위해 순사한 신숭겸과 김낙(金樂) 두 장수를 찬양한 작품이다.

                  도이장가 [悼二將歌] -고려 제16대 왕 예종(睿宗)이 1120년에 지은 노래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낙(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假像)을 만들어 참석하게 한 것을 보고,예종이 그들의 공을 추도하여 지은 노래이다.

 평산신씨고려대사장절공유사(平山申氏高麗大師壯節公遺事)에 전하는 가사에 "① 主乙完乎白乎 心聞際天乙及昆 魂是去賜矣中 三烏賜敎職麻又欲 ② 望彌阿里刺 及彼可二功臣良 久乃直隱 跡烏隱現乎賜丁”인데, 이것을 양주동(梁柱東)은 “① 니믈 오/ 밋곤/넉시 가샤/사샨 벼슬마 져 ② 라며 아리라/그대 두 공신이여/오라나 고/자최 나토샨뎌”로 해독(解讀)하고, 이것을 의역(意譯)하여 “님을 온전하게 하시기 위한, 그 정성은 하늘 끝까지 미치심이여, 그대의 넋은 이미 가셨지만, 일찍이 지니셨던 벼슬은 여전히 하고 싶으심이여, 오오! 돌아보건대 두 공신의 곧고 곧은 업적은 오래오래 빛나리로소이다"로 풀이하였다. 이 노래는 정과정곡(鄭瓜亭曲)과 함께 향가 형식의 노래가 고려 중기까지 남아 있었다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백과사전>

신숭겸의 묘는 강원도 춘성군 서면 방동리에 있으며,매년 음력 3월3일과 9월9일에 향사(제사)한다.

   

장절공 신숭겸 묘역(강원도 춘천시 서면 방동리)

신숭겸 장군의 묘역에는 묘와 묘비,신도비,사당, 영정, 동상이 있고,묘에는 봉분이 세 개가 있어 특이한 형태로 되었다.

1805년 안동김씨(신안동) 김조순이 비문을 짓고, 신위가 글씨를 쓴 신도비에 의하면 봉분이 3개가 있는데 대하여 두가지설이 있으니, 그 하나는 신숭겸이 전사하자 견훤의 후백제군들이 목을 베어 갔으므로 고려태조는 순금으로 두상(頭像)을 만들어 시신과 같이 매장하고 어느 것에 시신이 있는지 분간하기 어렵게 하여 도굴을 방지하려 하였다고 하고, 다른 하나는 신숭겸의 부인 묘라고 전해지는데 그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고 기록하였다.

   
                             멀리 춘천시 봉의산이 보인다.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조선 후기에 세력을 떨친 대표적인 명벌이다.

역사속에 이름난 인물로는 세종때 궤장(?杖:국가에 공이있는 원로 대신에게 하사하던 궤와 지팡이)을 하사받고 기로소(耆老所:70세가 넘는 정2품 이상의 문관을 지낸 대신들이 왕과 함께 들어간 일종의 '원로회의 격'으로 태조와 숙종,영조대왕이 여기에 참여했음)에 들어간 신개(申?)가 종부시령(宗簿寺令:왕실의 계보를 찬록하던 관청의 벼슬) 신안(申晏)의 아들로 벼슬이 우의정(右議政:정1품 정승)에 이르렀고, 동생 신효(申曉)는 태종때 문과(文科;대과)에 장원급제하고 세종때 교수관(敎授官:조선때 문과출신으로 파견된 향교의 교관)이 되었다.

 

우참찬(右參贊:의정부 정2품)을 지낸 신영(申瑛)은 뒤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왕명을 출납하던 중추부의 정2품)에 올랐고, 학자로 유명한 신명인(申命仁)과 신준미(申遵美),신계성(申季誠)은 서예(書藝)에 능통한 신효중(申孝仲)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여류문인이자 화가이며, 효와 현모양처(賢母良妻)의 표상으로 겨레의 어머니라고 하는 신사임당이 평산신씨다.신사임당(申師任堂)은 좌의정(左議政:정1품 정승)을 지낸 신개(申?)의 현손녀(玄孫女)이며 진사(進士:소과인 진사과에 급제한 선비) 신명화(申命和)의 딸이다.

신사임당은 효성이 지극하였고,문장(文章).침공(針工).자수 등에 뛰어났다.특히 시문(詩文)과 그림에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였으며, 뛰어난 석학(碩學) 이율곡(李栗谷)의 어머니로 유명하다.

서기 2008년에는  5만원권 지폐에 신사임당이 도안인물로 선정되었으며, 5만원권은 2009년 6월23일 첫선을 보였다.아들인 율곡과 함께 모자(母子)가 지폐의 도안인물로 선정되었다.

   
신사임당의 초충도(수박과 들쥐)-16세기 전반(국립중앙박물관)

한편 무신(武臣)으로 명성을 떨친 신립(申砬)은 선조때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5품).경력(經歷).진주판관(晉州判官:판관은수령의 지휘받아 사법.행정을 관장한 종5품)등을 거쳐 온성부사(府使:정3품수령)가 되어 북변에 침범해온 나탕개를 격퇴하고 함경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각 도의 병마를 지휘하던 종2품 병사.절도사)에 올랐다.

임진왜란때는 삼도도순변사(三道都巡邊使:왕명으로 군무를 띠고 변경을 순찰하던 특사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