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진학지도 인터뷰, 또 私교육 전문가인가? 

처절한 소쩍새의 울음은 그쳤다. 그런데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행태하나가 눈 쌀을 찌푸리게 한다. "난이도"는 물론 "전망"에 이어 앞으로의 "대입전략"을 가이드 하는 언론의 인터뷰는 거의 사교육 전문가들이다. 12일 아침, 저녁방송에 수능을 잘 보기 위한 전문가 인터뷰가 그랬고, 15일자 SBS 와 16일자 MK 매일경제는 일제히 "중앙, 종로, 대성"등 사설학원 원장 또는 담당 평가이사를 내 세워 "수능"을 평가하는 인터뷰를 싣고 있었다.
 
여타 내 노라 하는 언론매체들도 이에 뒤 질 새라 야단들이다. 그 속 알 머리 없는 내용 중에 거의 대부분은 "사설학원"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교육의 전문가는 그 어느 방송에서도 얼굴을 볼 수 가 없었다. 이거야 말로 "공교육"의 장을 언론 스스로 가로막고 홀대한다는 반증 아닌가? 만일 언론이 공교육을 살려야 한다는 소명의식이 있다면, "공교육 전문가"에게 중요한 수능"에 따른 분석, 전망은 물로 "대입전략"까지도 인터뷰해야 하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이 그렇게 하는 이유는 "사설학원이 오히려 그 분야에는 전문가"라는 전제적 인식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언론이 이러한 지경이니, "공교육"이 뒷전에서 제 본령을 누리지 못하고 소 닭 보듯 할 수밖에 없는 지경으로 내 몰리고 마는 것이다. 일종에 언론이 공교육이 직무유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꼴이다. 교육의 정체성 차원에서 보았을 때 온당한 발상이냐? 하는 데 대해서 보다 심각한 언론의 자성과 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언론만 탓할 일인가? 물론 그건 아니다.

이제 공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들이 뼈를 깍는 심정으로 자성하고 진학 전문성을 철저하게 준비해야 할 때이다. 세상은 온통 공교육을 살려야 한다고 아우성이다. 이런 마당에 언론과 책임 있는 곳에서 공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은 절대적 당위성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공교육"을 활성화시키려면, "관심 축"을 언제나 그 곳, 즉 공교육에 두어야 한다. "사교육 소식"을 일체 언론에서 다루지 않아야 한다. 적어도 1년만 이런 식으로 언론이 유지한다면 자연히 "사교육"은 발붙일 자리를 마련하지 못할 것이다. "역발상"을 "공교육 정착"에 두는 획기적 조처에 언론이 앞장서서 정도(正道)로 가야한다. 2009년의 "수능"을 끝으로 모든 "사교육"홍보를 언론에서 배제하는 일대 "언론개혁"이 이뤄져야한다.

뿐만 아니라, 전국의 고교 교사 700여 명이 회원인 전국진학지도협의회가 학원과의 대입상담·진학지도 경쟁을 선언했다. 일선 고교 데이터를 취합해 대학 배치기준을 만드는 등 학원보다 더 질 높은 대입 가이드 자료를 내놓겠다는 것이다. 차제에 사교육에 내줬던 진학 상담과 지도 역할을 학교와 교사가 되찾아 와야 한다. 대학 진학 상담과 지도의 사교육 의존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수능이 끝나고 본격적인 입시전쟁이 시작되면서 사교육업체의 입시설명회장 연일 북새통이다.

복잡한 전형 방법으로 갈피를 못 잡는 수험생과 학부모를 겨냥한 수십만, 수백만원짜리 입시컨설팅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한마디로 학생의 대학 진학지도에 학교와 교사는 뒷전이고 학원이 군림하고 있는 꼴이다. 이런 상황 역시 공교육의 왜곡현상이다. 대학 진학 상담과 지도 역시 고교 교육의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현장에서 진학 자료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data-base화하여 열정을 다 바친 노하우(know-how)의 소유자인 전국의 그 우수한 진학 담당교사들은 다 어디 있단 말인가? 이들의 움직임을 계기로 각 학교와 교사가 진학지도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진학담당 교사와 고3 담임교사들은 입시요강 등 입시 관련 자료를 철저히 분석하고 공부해 진학지도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진학지도 교사 연수, 학부모 대상 진학설명회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 나갈 필요가 있다. 진학지도 교사가 입시를 모르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의 몫이란 점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게다가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일선에 있는 교사가 더 더욱 전문성을 겸비해야 한다. 스스로 자기 자리를 지키지 못하여, 사교육에 공교육의 권위를 잠식당하는 책무성 부실의 우(愚)를 더 이상 범해서는 안 된다. 

(교육칼럼니스트 영문학박사 송 명 석 )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