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섭 코레일 사업개발본부장, "사업성 안 맞으면 추진 못해"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이 '사업성'이 안 맞을 경우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코레일과 수원애경역사(주)가 수원역 복합역사 유휴부지 공동개발 및 증축을 위한 사업추진협약을 체결했다.

사업추진협약에 따라 개발, 증축되는 규모는 기존 수원역 민자역사와 주변 유휴부지를 포함, 지하1층, 지상6층, 연면적 8만7680㎡(2만6523평)로 상업시설과 업무시설, 문화공간 등 복합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수원역 민자역사 공동개발은 철도선진화 조기 달성을 위한 수익모델 개발의 일환으로, 시설임대료 등 매년 24억원씩 지속적으로 부대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코레일의 경영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경백화점 수원점도 고객유치는 물론 판매·업무시설 확대에 따른 영업이익이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해 대전역 복합역사개발계획이 지원하는 업체가 없어 무산된 대전시민에게 이와 같은 수원역의 개발소식은 분명 부러운 소식임에 틀림없다.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은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것일까. 김종섭 코레일 사업개발부 본부장은 "수원역사나 천안역사 등 현재 복합역사를 추진하는 곳은 '역사'자체에 대한 개발이다. 하지만 대전역은 역세권개발사업이기 때문에 사업개념부터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원역사는 2000억원이 넘지않는 예산으로 수원역을 개발하는 사업이지만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은 대전역을 중심으로 주변지역도 함께 개발하기 위해 1조 7000억원이 들어가는 사업이기에 범위나 예산 규모에서도 큰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은 20만7382㎡(6만2733평)의 면적으로, 수원역 개발사업보다 3배 정도 규모가 크다.

현재 복합역사는 수도권과 충청권 일부 노선에서 공사 중이거나 들어설 예정에 있다. 전국에서 완공되어 운영중인 민자역사는 총 10곳으로 서울역, 영등포역, 신촌역, 용산역 등 서울 지역 4곳을 비롯해 안양역, 수원역, 부천역, 부평역 등 경기도에 4곳, 지방에서는 동인천역과 대구민자역사 등이 현재 운영중이고 천안역은 추진중에 있다.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병오 역세권개발팀장은 "대전시와 코레일이 의견을 어느 정도 일치시킨 부분은 선상개발은 안된다는 것과 대전역은 일반 역사로 추진한다는 점, 코레일 소유의 동광장을 중심으로 랜드마크 성격의 업무용 빌딩을 추진하는 것이다. 대전시가 동광장에 300m 높이의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허가했고 실제로 그런 건물이 들어오면 빌딩 앞의 대전역이 높으면 랜드마크가 가려지기 때문에 대전역사는 현재 계획대로 가는 것으로 이야기가 됐다"고 말했다.

   
복합역사로 들어선 용산역과 수원역, 부산역.

하지만 "대전지역의 업무용 빌딩 공실율이 10%를 넘는 상황에서 300m 높이의 건물이 들어서는 것이 사업성에 맞는가는 따져봐야 한다. 또사업자에게 선상위 데크와 환승센터 등 6만9260㎡(2만7703㎡)의 설치, 조성이 의무화 되어 있어 이에 대한 부담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1990년도에 신세계에서 추진하다가 동서대로 건설비 분담 문제로 무산된 이후 2002년에 삼성에서 복합역사를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검토를 했었는데, 사업성이 나오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와 포기했던 경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동대구역세권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한 것도 사업성 때문이라는 것. 그는 "애초에 지자체에서 동대구역세권개발과 관련한 청사진을 가지고 와서 설명을 하고 추진하기로 했었다. 하지만 하려는 건설사들이 나서지 않자 차후에 여건이 형성된 이후에 추진하는 것으로 잠시 유보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의 사업성이 떨어지는 이유로 김 본부장은 'KTX 개통'을 들었다. 그는 "KTX가 개통된 이후 대전시민들은 서울로, 서울로 이동해 갔다. 전 강경호 사장도 백화점을 추진하는 것보다 아프면 서울의 유명 병원을 찾아가는데, 차라리 역세권에 유명한 의사를 데려다가 병원을 짓는 것이 지방에서 올라오는 사람들에게도 좋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KTX가 개통되면서 빠져나가는 사람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역세권 9만1600㎡에 대한 민자사업 공모를 빠르면 3월 중, 늦어도 상반기 중에 재추진하기로 했다.

도시재정비촉진 특별법에 의해 최고 50%까지 국비에서 지원이 가능해지고 백화점의 입점제한이 풀리면서 건설사들이 우려했던 부분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판단에서다. 또 역세권개발계획의 최종 계획안이 발표되는 시점도 고려됐다.

이에 대해 김 팀장은 "대전시의 계획이 그렇다는 것인데, 늦어도 5월까지는 공모 절차를 마친다고 한다. 하지만 코레일에서는 과연 사업성이 있는지에 대해 검토를 정확히 할 계획이다. 시에서 건설사들에게 사업을 제안하고 하겠다는 업체가 열 몇 군데는 되어야 경쟁이 되는것이다"면서 "시민들이 대전역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알지만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사업성 등 현실적인 문제를 더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달 말 경 발표될 대전역세권개발계획의 최종 계획안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사업 추진의 성패가 달려있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