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7시 국정원 대전지부 주최 산업보안설명회 열려

국가정보원이 주최한 산업보안설명회가 9일 오전 7시 대덕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보안은 울타리와 같습니다. 조직 구성원이 주체이며 시스템은 단지 수단일 뿐입니다”

국가정보원이 기업인을 상대로 열린 정보망을 펼쳤다. 국정원 대전지부는 9일 오전 7시 대덕컨벤션센터 2층 사파이어볼룸에서 “국내외 산업보안환경과 첨단산업기술 보호대책”을 주제로 산업보안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날 설명회는 대전상공회의소와 삼성경제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월례행사와는 달리 '국가정보원' 주관이라는 프랑카드가 걸려있어 참석자들로 부터 정보기관의 변화된 모습을 읽게 했다.  특히 국익과 국부유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기업인들의 협조를 구하는 국정원 직원과 친절하게 안내하는 광경은 권력의 일단으로 권위와 위엄을 내세웠던 과거와는 사뭇 달랐다.

인사에 나선 국정원 한 관계자도  “많은 전문가들이 이는 빙산의 일각으로 보고 있다” 며 “기업에서 정부수사기관에 의뢰하는 일이 낮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기술유출은 더 많을 것이다” 고 말하는 모습에서 진정성을 엿보게 했다.

또 그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의 경쟁국들은 LCD, 반도체 등 첨단기술을 빼돌리려 혈안이 되있다” 며 “특히, 대전지부에서는 작년 한 해동안 대전,충남지역에서 5건의 첨단기술해외유출 사례를 적발했을 정도로 산업스파이들이 곳곳에 퍼져있다” 고 경고하면서 경각심을 환기시키기도 했다. 

인사에 이어 국정원 담당자가 대전충남지역의 사례를 들면서 보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국내 산업기술의 해외유출 사건이 빈발하고 있는 가운데 국방과학연구소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기술유출 사건을 통해 대전, 충청지역도 안전지대가 아님이 드러났다. 2003년 이후 기술유출 사건이 61건이나 적발됐고 2005년 한 해만 29 건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대전은 전기전자 분야가 30건으로 가장 많이 적발됐고 전현직 연구원들의 매수에 의한 기술유출이 대부분이었다.

산업스파이 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인력스카우트나 관계자 매수에 의한 활동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외 전산 해킹이나 도청, 기술 절취 등도 있었다. 국내 기술유출 주요사건의 동기를 보면 2004년도에 발생했던 'GSM 기술유출 사건' 과 'LCD 제조기술 유출사건' 은 각 각 이민제시 고액연봉을 제시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003년 도에 발생했던 ‘반도체(NAND Flash 메모리) 제조기술 유출사건’ 적발로 12조 원에 달하는 국부손실을 예방할 수 있었다. ‘NAND Flash 메모리’ 는 대용량저장용 메모리 반도체로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 점유율이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진입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들 산업스파이는 과거 생계형에서 최근 외국정부와 연계하는 기업형으로 국제화, 대형화 되고있음은 물론 기술절취방법(USB메모리, 이메일, 웹하드 등)이 점차 첨단화 되고있어 기업들의 철저한 보안관리가 요구되고있다. 기술 자산 유출경로를 살펴보면 전자메일과 인터넷을 이용하는것은 물론 불법침입을 하거나 해킹과 도청을 하는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어 두번째로 강의를 한 유진오 삼성전자정보보호그룹장은 학연 지연 등을 통한 절친한 관계의 청탁, 협력업체의 공식적인 자료요청, 사적인 대화에서의 유출 등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 그룹장은 “기술이 빠져나가면 끝장이다. 조기 차단 활동이 중요하다” 며 “임직원이 함께 지키는 정보보호체계가 필수이다” 고 강조했다. 보안관리를 위해서는 임직원에 대한 사전관리와 정보자산에 대한 가치인식, PC, 네트워크 등 보안, 저장매체 관리 및 부서 자율보안 활동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