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연희의 미디어창] <159>

대전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총괄할 교통공사의 설립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충청권 광역철도를 비롯해 대전도시철도 2호선 등이 개통되면 대중교통시스템이 지금보다 훨씬 복잡해지는 만큼 이를 유기적으로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는 이유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현재 1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교통공사 설립 타당성 여부와 대중교통체계 등에 대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권선택 시장 후보시절 대중교통체계 전담할 교통공사 설치 약속

임연희 교육문화부장
권선택 시장은 지난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대전시장 예비후보 시절 버스운수 종사자들과 만나 대중교통 체계를 전담하는 교통공사 설치를 약속했었다. 당시 권 후보는 "대전의 교통정책은 대중교통정책으로 가는 것이 맞다"며 "대중교통 분담률이 전국에서 꼴찌를 기록해 서민 교통비 부담이 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시민의 발인 시내버스를 대전교통의 중심으로 삼아야 한다"는 말도 했었다.

권 시장 취임 후 대전 도시철도2호선은 고가 자기부상열차에서 노면전차(트램)로 변경됐다. 친환경 교통수단이자 건설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을 지닌 트램은 서울, 부산, 인천, 경기도 수원·화성·성남·시흥·부천 등 전국 지자체들이 건설을 추진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도입되지 않은 신개념 교통수단이다. 트램 운용에 필요한 3법 중 도시철도법과 철도안전법은 개정됐으나 도로교통법은 아직 입법절차가 진행 중이다.

법 이외에도 대전 트램의 갈 길은 멀다. 시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무리 한 뒤 2020년 착공해 2024년까지 서대전역~정부청사~유성온천역~진잠~가수원역을 연결하는 32.4㎞의 1구간 사업을 마무리 할 예정이다. 가수원4가~서대전역을 잇는 5.0㎞ 2구간은 중앙부처 협의 및 승인을 거친 뒤 2022년 착공, 2025년에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일정대로라면 2025년 도시철도2호선이 전면 개통된다.

하지만 기본계획 변경 승인 및 총사업비 조정 등 중앙정부와의 협의가 진행 중이며 총연장 37.4㎞에 이르는 대규모 노선이 도로를 점유함으로써 빚어질 교통체증과 승용차 운전자들의 저항은 여전히 숙제다. 문재인 대통령이 충청권 공약으로 '대전 도시철도2호선 트램 조기착공 지원'을 내건 만큼 국비 확보는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건설방식을 둘러싼 시민적 갈등은 트램 건설의 또 다른 걸림돌이다.

대전 시내버스 승객이 줄어드는 것도 걱정스런 대목이다. 2015년 하루 평균 42만5,000명이던 대전 시내버스 이용객이 작년에는 41만4,000명으로 1만 명 가까이 줄었다. 대전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자동차 보유대수는 증가하고 있으니 시내버스 이용률은 더 떨어질 것이다. 승객 감소는 비단 시내버스뿐 아니라 대중교통 전반의 위기일 수 있고 트램이 도입되면 더 심해질 수 있다.

도시철도3호선 역할이 기대되는 충청권 광역철도도 조기건설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시내버스와 지하철인 도시철도1호선, 2호선 트램, 충청권 광역철도, BRT(간선급행버스) 등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대중교통시스템의 통합관리가 요구된다. 현재 시내버스는 준공영제로 운영되어 있으며 도시철도1호선은 대전도시철도공사가 맡고 있다. 도시철도2호선 트램과 충청권 광역철도 업무는 대전시 대중교통혁신추진단이 담당한다.

서울은 물론 인천, 부산에는 이미 교통공사가 만들어져 대중교통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서울시는 지하철을 운영하던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하려 했지만 감원을 우려한 노조의 반대로 난항을 겪다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로 안전문제가 촉발되자 지난 5월 서울교통공사를 출범할 수 있었다. 인천교통공사는 도시철도는 물론 순환버스, 장애인콜택시, BRT, 의정부경전철 등을 운영하는 종합교통기관이다.

다양한 교통시스템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전문성 갖춘 기관 필요

짧게는 5년에서 10년 이내에 대중교통체계에 일대 변혁이 예고되는 대전의 경우 컨트롤 타워가 더욱 절실하다. 대중교통시스템을 하나의 틀에서 관리 운영함으로써 공공성을 강화하고 관련 시설들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기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하철, 트램, BRT, 광역철도 등이 승용차와 공존할 대전은 신호체계와 노선, 환승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정비하지 않으면 엄청난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대전교통공사 설립 여부는 연구용역 결과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시민의 교통편의 제고와 행정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관리주체가 다른 대중교통 수단들이 얽혀 사고가 발생한 뒤 컨트롤 타워를 만드는 것은 너무 늦다. 지금부터 치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대전 교통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힘들다. 대전교통공사가 대중교통 백년대계의 새 로드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