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움직일 때 '통증과 함께 소리 나는 경우', 통증으로 인해 '입을 잘 못 벌리는 경우'

턱관절. 대전선치과병원 제공.

아래턱뼈와 머리뼈가 만나 이루는 관절을 턱관절(악관절)이라고 한다.

턱관절은 저작근(음식을 씹을 수 있도록 강한 수축력을 보이는 근육들), 인대와 함께 작용해 턱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음식을 씹고 발음하는 것도 턱관절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선치과병원 구강내과 김문종 과장.

턱관절 장애는 여러 질환의 복합체로써 디스크와 인대, 근육, 관절에 증상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 턱관절염은 머리뼈와 만나는 아래턱 관절뼈에 염증이 생겨 뼈가 조금씩 닳아지는 질환이다.
 
턱관절염은 이갈이, 이 악물기 등의 불량한 구강습관에 의해 턱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면서 나타난다. 또 스트레스가 심해 면역력이 약화되면 턱에 가해지는 힘의 부하를 견디기 힘들게 되는데, 이때에도 턱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턱관절염은 중장년층에게서 발생하는 무릎 관절염 같은 질환이긴 하나, 특이하게 10~30대의 여성에게 가장 많이 나타난다.

특히, 디스크의 위치 이상으로 턱을 움직일 때 딸깍하는 소리가 지속적으로 나는 사람이라면 비교적 발병률이 높다.

또 어금니가 상실된 경우, 심한 부정교합, 얼굴형태가 위아래로 긴 사람도 턱관절염에 쉽게 걸린다.

대표적인 증상을 살펴보면 턱을 움직일 때 사각사각 나는 소리 혹은 돌이 긁히는 소리와 함께 통증이 발생하며, 직접 만졌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이차적으로 두통, 귀의 통증, 근육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턱관절장애 검사과정에서 뼈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촬영한 방사선 사진. 대전선치과병원 제공.

턱관절염의 치료방법에는 물리치료, 약물치료, 장치치료(탈착 가능) 등이 대표적이며, 치료기간은 보통 1년에서 1년 반 정도 소요된다.

물리치료를 할 때는 염증이 나타난 관절에 심부열 치료(온도를 높여줘야 하나 화상의 위험이 클 때 단파나 초음파로 시행하는 치료), 저출력 레이저 치료, 전기자극 치료 등을 시행한다.

약물은 주로 염증을 줄여주기 위한 소염제를 사용하며 보조요법으로 관절 기능 개선제 등이 처방된다. 이차적인 근육통이 발생하는 경우 근육 이완제가 같이 처방되기도 한다.

장치치료는 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근육과 뼈를 안정시키기 위해 입안에 탈착이 가능한 교합안정장치(스플린트)를 착용하는 방법이다.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을 직접 주사하기도 하고, 턱관절 내에 염증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턱관절 세정술(턱관절의 염증을 씻어내고 과도한 압력을 완화시켜주는 것)을 시행하기도 한다.

관절뼈의 변형이 심해 턱의 기능이 많이 떨어진 경우에는 턱관절 치환술 등의 외과적 수술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도 대부분의 증상이 개선되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턱관절염을 방치하면 뼈가 더 닳아 이가 물리는 양상까지 변하게 된다. 특히 위아래 앞니가 잘 물리지 않고, 한쪽 뼈만 닳을 때는 얼굴의 비대칭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절염치료 후 교정치료나 악교정수술을 시행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귀 앞 부위의 통증이 몇 주 이상 지속되거나, 턱을 움직일 때 통증과 함께 소리가 나는 경우, 통증으로 인해 입을 잘 못 벌리는 경우에는 가까운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