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직에게 청년은 매력적인 존재다. 노인 표는 이동성이 적은 편이나 획기적 공약과 파급효과에 따라 청년들을 투표장으로 불러 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대통령 선거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인들이 청년정책을 쏟아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자치단체들도 앞 다퉈 일자리 창출과 청년수당, 창업지원 등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권선택 대전시장도 올해 시정 1순위로 청년정책을 꼽았다. 그는 "청년의 일자리, 설자리, 놀자리가 종합된 청년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며 "청년이 모여드는 도시에 미래의 희망이 있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문화예술을 공부하러 대전에 온 대학생들이 주거와 생계, 작품(일)이 없어 떠난다는 조사결과도 지속가능한 청년정책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권 시장은 청년 창업·활동 공간과 지원을 위한 정책을 펼치겠다며 대전 청년의 전당 건립, 한빛광장 내 청년 창업 플라자 조성, 청년 취업패스 지원 등을 제시했다. 그런데 청년의 전당 건립처럼 여전히 하드웨어 수준을 면치 못하고 타 지지체 사례들을 나열한 게 대부분이어서 대전만의 차별성은 드러나지 않는다. 구체적 예산계획도 빈약하다.

학생 수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건물을 짓고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것은 낭비다. 지역에 산재한 대학과 연구단지, 원도심 등 기존공간과 시설물을 활용하고 대전시의 일방적 정책 추진이 아닌 관련 기관단체들과의 공조가 선행되어야 한다. 청년인구(만 19~39세) 비율이 30%가 넘는 대전은 젊은 도시에 속하는 데다 청년실업률도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다. 청년문제로 당장 도시가 몰락할 것처럼 호들갑스럽게 내놓는 정책은 포퓰리즘이 되기 십상이다.

성급한 정책발표보다는 대전의 현재와 미래를 면밀히 분석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타 지역의 성공사례는 나중에 따라 해도 된다. 10여개 대학과 연구단지 등 대전만의 특화된 연구기반을 가졌지만 산업화할 시장이 없어 학생도, 기술도 떠나는 것이다. 대전시는 떠나는 청년들에게 건물을 지어주고 면접 갈 차비와 옷을 빌려줄 게 아니라 대전의 풍부한 과학기술과 인프라를 잘 연결해 대전에 머물 수 있는 토양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게 좋겠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