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남의 힐링고전] <271>

우리가 사용하는 말 중에는 본래의 의미를 모르는 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중 하나가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말이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 말의 뜻은 이장(里長)이나 면장(面長)을 하려해도 뭘 알아야 하지? 즉 ‘어떤 일을 하더라도 알아야 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말의 유래는 송백헌 충남대국문학과 명예교수의 설명에 의하면 일제강점기시대 마을에서 돈 꽤나 있고 지역 유지쯤 되는 사람들에게는 마을의 최고 기관장인 면장(面長)자리가 선망의 자리가 되었다. 그렇지만 무식한 사람이 앉게 되면 그 면의 행정은 엉망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알아야 면장을 해먹지’라는 용어가 생겨난 것이라 하였다.

▴ 면장(面長)은 면장(面牆), 면장(免牆)에서 유래 되었음이라 유추(類推)해 볼 수 있다.

논어 양화(良貨)편에 공자가 아들인‘리’(鯉)를 훈계하는 내용이 나온다. “너는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공부하였느냐? 사람이 주남과 소남을 공부하지 않으면 담벼락을 마주보고 서 있는 것과 같으니라!”하며 아들을 훈계하는 내용이 나온다.

이 내용 중에‘담벼락을 마주보고 서있다.’(其猶正牆面而立也與)라는 대목이 있는데 그 대목 중에 ‘담벼락을 마주보다’라는 뜻의 장면(牆面)이라는 글자가 있다. 장면(牆面)을 문법적으로 보면 ‘담벼락(牆)을 보다(面)’로서 동사와 목적어가 도치(倒置)되어있다.

그런데 이것을 동사와 목적어 순으로 하면 ‘보다(面) 담벼락(牆)을’이 된다. 그래서 면장(面牆)이 된다. 그러므로 음이 같은 면장(面牆)에서 알아야 면장(面長)을 하지라는 말이 유래되었음을 유추(類推)해 볼 수 있다.

장면(牆面)이나 면장(面牆)의 뜻은 모두 ‘담벼락을 마주본다’는 뜻으로서 식견(識見)이 없고 무식하여 마치 담벼락을 쳐다보고 서있는 것처럼 만사에 답답함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뜻이 되겠다.

또한 무식함(面牆)을 면(免)하라는 뜻의 면면장(免面牆)에서 면장(免牆)이 된 것이라 유추해 볼 수 있다.
무식함을 면(免)해야 담벼락을 마주 보고 서 있는 답답함에서 벗어날 수 있고 또한 면장(面長)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처럼 음이 같은 면장(面長), 면장(面牆), 면장(免牆)의 글자 뜻은 각기 다르지만 이 세상을 살려면 배워서 알아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음이다.

면장(面牆)이라는 말은 명심보감 근학편에도 나온다.

살펴보면, 중국 북송의 8대 황제인 휘경황제의 말 중에“젊어서 배우지 않으면 훗날 담벼락을 마주대한 것처럼 답답하여 후회하지만 나이가 이미 늙었으니 무슨 소용이 있으랴(他日 面牆에 悔之已老로다)에서 면장(面牆)이라는 말이 나옴을 알 수 있다.

▴ 면장 모가지라는 말이 있다.

면장 모가지란 닭고기 부위 중에 닭의 꼬리 쪽에 뾰족하게 기름이 뭉쳐진 부위를 말한다. 기름진 음식을 먹을 기회가 별로 많지 않았던 옛날사람들은 닭고기의 기름진 그 부위를 무척 좋아했다고 한다. 그 부위가 면장모가지라고 붙여진 재미있는 이야기다.

강원도지역 어느 고을에서 군수와 면장이 함께 회식을 하게 되었다. 그 회식 상에는 맛있는 여러 음식과 함께 닭고기도 올라 왔다. 그런데 면장이 눈치도 없이 닭고기의 그 기름진 부위를 잽싸게 집어 먹어 버린 것이다.

아까워서 맨 나중에 먹으려고 했던 군수는 그만 화가 치밀어 자기 앞에서 감히 젓가락을 들이민 면장이 괘씸하다고 파면시킨 것이다. 그래서 그 기름진 부위를 먹다가 면장의 모가지가 달아났다고 하여서 닭의 기름진 꼬리 쪽 부위를 ‘면장모가지’라 부르게 된 것이라 한다.

▴ 인생사 중에는 배움(學)이 우선이다.

인생은 평생 배우는 것(學)이요. 평생 일하는 것(業)이요. 평생 사랑(봉사)하는 것(愛)이라 했다. 그 중에서 배움이 으뜸이라 하겠다.

배워서 알아야 일을 제대로 할 수 있고 또한 배워서 알아야 사랑(봉사)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배워서 알지 못하면 일(業), 사랑(愛) 그 어떤 것도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 만사 중에 배워서 아는 것이 그 우선이라 하겠다.

- (대전시민대학 인문학 강사) -
=============================================================================================

필자 김충남 강사는 서예가이며 한학자인 일당(一堂)선생과 정향선생으로 부터 한문과 경서를 수학하였다. 현재 대전시민대학, 서구문화원 등 사회교육기관에서 일반인들에게 명심보감과 사서(대학, 논어, 맹자, 중용)강의 활동을 하고 있다. 금강일보에 칼럼 "김충남의 古典의 향기"을 연재하고 있다.

※ 대전 KBS 1TV 아침마당 "스타 강사 3인방"에 출연

김충남의 강의 일정

⚫ 대전시민대학 (옛 충남도청)
- (평일반)
A반 (매주 화요일 14시 ~ 16시) 논어 + 명심보감 + 주역

- (토요반)
B반 (매주 토요일 14시 ~ 17시) 논어 + 명심보감 + 주역

⚫ 인문학교육연구소
(매주 월, 수 14시 ~ 17시)

⚫ 서구문화원 (매주 금 10시 ~ 12시)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